![]() |
△ 광복 70돌 준비위가 개최한 행사장에서 '남북공동선언 이행'이 적힌 대형 플래카드를 펼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광복 70돌 준비위 "민족공동행사 조건 없이 허용하라"
6·15 남북공동행사 성사 위해 각계 대표단 농성 돌입
(서울=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광복 70돌 준비위)는 4일 정부 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민족공동행사를 조건 없이 허용하고 대북적대정책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복 70돌 준비위는 이날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남북 공동행사가 무산 위기에 놓인 것에 대해 "여러 어려움이 중첩되고 있지만 성사를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히며 정부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준비위는 "정부는 각계의 민간교류, 민족공동행사를 조건 없이 허용해야 한다"며 "기준도, 근거도 없는 접촉 불허나 선별 배제 조치, 순수 문화체육행사 등의 가이드라인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대북 적대정책을 철회하고 평화와 협력의 정책으로 전환하는 적극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지난 7년여의 적대정책으로 우리에게 돌아온 것은 높아진 군사적 긴장과 동북아 질서 주도권의 상실 밖에 없다"고 말했다.
준비위는 6·15 민족공동행사 성사를 위해 이날부터 오늘 14일까지 정부 서울청사 앞에서 대표자 농성에 돌입한다며 "정부에 대북정책 전환과 조건없는 민족공동행사 보장을 촉구하는 뜻과 의지를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준비위는 또 각계 대표단 구성을 비롯해 오는 14∼15일로 예정된 민족공동행사 준비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광복 70돌 준비위는 지난달 5∼7일 중국 선양(瀋陽)에서 남북해외 대표자 회의를 여는 등 북측과 함께 6·15 공동행사를 추진해왔으나, 북측 준비위에서 남과 북이 각각 분산 개최를 하자는 서신을 보내오면서 공동행사가 사실상 무산된 상태다.
정부는 남북관계 발전이나 민족 동질성 회복 차원의 순수한 사회문화 교류행사는 장려하겠다고 밝혔지만, 북측은 정치색을 배제하자는 남측의 행사 내용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남북 공동행사 개최는 차질을 빚게 됐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