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마스크 고쳐 쓰는 병원 관계자들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3일 오전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 입구에 설치된 메르스 의심환자 격리센터(의심증상 검사 및 임시 수용시설) 앞에서 병원 관계자들이 마스크를 고쳐 쓰고 있다. jihopark@yna.co.kr |
WHO "메르스 병원내 감염 방지 조치 필요"
(제네바=연합뉴스) 류현성 특파원 = 세계보건기구(WHO)는 3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중동 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에 대한 적절한 감염예방과 통제 조치가 이뤄지기 전에 중동에서 알려진 모든 유형의 병원 내 메르스 감염이 발생했다면서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한 적절한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WHO는 이날 발표한 `한국과 중국의 메르스 발생 현황'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2년 이후 이날 현재까지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돼 보고된 사람이 1천179명이며 이 중 최소 442명은 사망했다면서 감염자 중 남자는 66%이며 평균 나이는 49세 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WHO는 동물에서 전염되는 바이러스인 메르스는 대부분 중동에서 발생했으며 낙타나 낙타 관련 부산물과 직·간접적 접촉을 통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일단 메르스에 감염된 사람이 증상을 일으키면 이를 전파하지만 어떤 조건이 전염을 쉽게 하는지, 위험 요소는 무엇인지 등은 아직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WHO는 그러나 공동체 단위의 광범위한 전염은 아직 관찰된 바 없고, 사람과 사람 간 전염은 집이나 병원 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면서 한국에서 최초 감염자와 접촉한 사람 중에 추가 감염자가 발생할 수 있지만, 과거에도 적절한 감염 예방과 공중보건 조치 등을 통해 더 이상의 감염이 중단됐다고 강조했다.
WHO는 또 사우디 아라비아 이외 지역에서는 가장 크게 메르스가 발병한 한국에서 비록 적은 수이지만 3차 감염도 발생해 한국 정부와 긴밀하게 접촉하며 사태를 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WHO는 메르스 감염자로 의심되면 환자를 즉각 치료하고 다른 환자나 의료진, 방문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증세를 보이는 환자에게는 눈을 포함해 입이나 코에서 침이나 분비물 입자가 튀지 않도록 하는 조치를 추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침구류를 깨끗하게 빨고 소독하며 쓰레기도 특별히 분류해서 처리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수증기가 발생하는 치료를 하지 않는 이상 공기를 통한 전염 예방은 일반적으로 권고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WHO는 전 세계 25개국에서 메르스 발병이 보고됐지만 대부분 사례는 사우디 아라비아이고 올해 5월 이후 한국과 중국이 추가됐다면서 한국의 메르스 감염은 사우디 아라비아·카타르, 아랍에미리트연합·예멘 등을 여행한 환자로부터 비롯됐다고 말했다.
메르스 발병이 보고된 25개국은 중동에서 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오만·카타르·사우디 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연합 등이며 아프리카는 이집트·알제리·튀니지, 유럽은 오스트리아·프랑스·독일·그리스·이탈리아·네덜란드·영국·터키 등이다.아시아에서는 한국·중국·말레이시아·필리핀, 북미에서는 미국 등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