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 한달' 이란 핵협상 IAEA 사찰범위 진통(종합)
케리-자리프 제네바 회동, 군시설·연구진 사찰 허용 여부 이견
(서울·두바이=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강훈상 특파원 = 시한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이란 핵협상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이란 핵 프로그램 사찰 범위를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을 대표로 한 양국 협상단은 3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집중적으로 협상을 벌였으나 쟁점에 대한 접점을 찾지 못했다.
미국은 이란이 군시설에서 핵무기 제조 기술을 비밀리에 개발할 수 있다고 보고 군시설과 연구진도 IAEA가 사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이란은 이를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자리프 장관은 협상을 마친 뒤 이란 국영방송에 군시설과 연구진 사찰과 관련, "이란과 미국이 의견차를 해결하는 대안을 마련해 보기로 결정했다"며 "서로에게 지나친 요구를 하지 않아야 협상이 타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對) 이란 경제제재의 해제 시점과 방법에 대해서도 이견을 좁하지 못했다.
미국은 이란의 합의사항 이행 상황을 보고 단계적·조건적으로 제재를 해제하자는 기존 주장을 반복했고 이란은 '핵협상안에 서명하는 즉시' 제재가 영구적으로 풀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6개 상임이사국+독일)은 이란이 향후 합의사항을 위반할 경우 유엔 경제제재를 자동으로 부활시키기로 하는 내용에 합의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31일 보도했다.
협상에 참석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차관은 이날 "모든 쟁점을 논의했지만 이견이 여전했다"고 협상장 분위기를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측 관리도 "협상이 어렵게 진행됐지만 결국엔 성과를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양자 협상은 다음달 3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