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깐깐하게"…전주시 시내버스 투명성 강화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31 15:34:13
  • -
  • +
  • 인쇄


'더 깐깐하게"…전주시 시내버스 투명성 강화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전북 전주시가 시내버스 보조금 지급과 관리에 대한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놨다.

이는 연간 130억원 안팎의 시민 세금이 시내버스 보조금으로 지원되지만 버스업체의 횡령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최근에는 전주의 한 시내버스 업체 대표 A씨가 2011년부터 4년간 저상버스 구입비 명목으로 13억여원의 보조금을 타낸 뒤 이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다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투명성 강화를 위해 시는 우선 시내버스 외부회계감사와 표준운송원가 산정 용역 방법을 전면 개선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전주시의회와 노조는 물론 지난해 출범한 '시민의 버스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계약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검증된 기관이 용역업체로 추천되도록 수의계약 방식으로 변경·개선하기로 한 것이다.

그동안 시는 공개입찰 방식으로 용역업체를 선정했지만, 시내버스 용역 경험이 전혀 없거나 매년 다른 업체가 선정되는 바람에 용역의 일관성 및 연속성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또 7급 상당의 회계 전문가도 채용한다.

보조금의 투명성 강화를 위해 시내버스 외부회계감사제를 도입했으나 이를 감독할 수 있는 회계 전문가가 없어 명확한 검증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앞으로는 '영업상 비밀'이라는 이유로 지금까지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시내버스 회계감사 및 표준운송원가 용역 결과'도 전주시의회 등에 공개된다.

이 '시내버스 회계감사 및 표준운송원가 용역 결과'가 공개되면 버스회사들의 정확한 수입·지출 내역을 통해 적정 원가를 판단, 적절한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는 용역 결과에 따라 해마다 버스업체 적자 보존액의 8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용역결과에 대한 의혹과 불신은 물론 보조금이 엉뚱한 곳에 사용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용역 방법을 바꾸는 것은 물론 그 결과를 공개하는 등 보조금을 깐깐하게 집행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