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2차대전 전 '독-소 불가침 조약' 정당성 주장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1 18:14:34
  • -
  • +
  • 인쇄
방러 메르켈과 회담 뒤…"소련 안보 위해 불가피했던 선택"

푸틴, 2차대전 전 '독-소 불가침 조약' 정당성 주장

방러 메르켈과 회담 뒤…"소련 안보 위해 불가피했던 선택"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모스크바를 방문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서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소련과 독일이 체결했던 '독-소 불가침 조약'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문서에 서명한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와 독일 외무장관 요하임 폰 리벤트로프의 이름을 따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으로도 불리는 이 조약은 폴란드와 발트3국 등의 중부 유럽을 독일과 소련이 분할한다는 내용의 비밀의정서도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관련국들의 비난을 받아왔다.

나치 독일은 소련과의 불가침 조약 체결(1939년 8월 23일) 직후인 그해 9월 1일 폴란드를 침공하며 2차 대전을 시작했고, 소련은 같은 해 9월 17일부터 폴란드 동부를 점령하고 뒤이어 폴란드 통제하에 있던 우크라이나 서부와 벨라루스, 발트3국 등을 병합했다.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메르켈 총리와의 회담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서방과 관련국들의 비판을 받아온 해당 조약이 소련의 안전 확보를 위해 불가피했던 선택이었다고 주장했다.

메르켈이 이 조약이 불법으로 체결됐다고 언급한 데 대한 반박이었다.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이 2차대전을 초래한 나치와의 야합이었다고 비판했던 지난 2009년 자신의 발언을 뒤집는 것이기도 했다.

푸틴은 나치 독일의 2차대전 개시 전 소련이 나치즘에 대항하기 위한 반(反)나치 집단동맹 체제 창설을 위해 노력했지만 유럽국가들의 거부로 결국 실패했다고 상기시키면서 "이에 소련이 나치 독일과 1대 1로 맞서야 하는 상황이 됐음을 깨닫고 히틀러와의 직접적 충돌을 피하기위해 체결한 것이 바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체결 약 1년 전인 1938년 9월 30일 독일 뮌헨에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이 '뮌헨 조약'을 체결한 이후 폴란드 스스로가 체코 영토의 일부를 병합하려고 시도했음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체결과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가 추구했던 유럽 내 타국 침략 야욕이 분쇄됐다고 주장했다.

푸틴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스탈린 외교의 대단한 성과라고 주장한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러시아 문화부 장관의 발언이 조약의 피해자인 폴란드와 발트3국 등에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안다면서 그러나 "우려의 극복은 그것을 느끼는 국가의 내부 문제이며 이들이 그것을 극복하고 과거의 공포 속에 살 것이 아니라 미래를 바라보는 행보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지난 2009년 독일 그단스크에서 열린 2차 대전 개전 관련 행사에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자국의 문제를 다른 나라의 희생을 통해 해결하려 한 야합"이라고 비판했던 자신의 발언을 뒤집는 것이다.

그는 당시 "나치주의자들을 달래려는 목적의 모든 협정은 도덕적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고, 정치적 관점에선 무용하고 유해하며 위험한 것이었다"며 "이 모든 (야합적) 행동들이 2차 대전이란 비극을 초래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푸틴은 당시 "당연히 이같은 실수를 인정해야 하며 러시아 의회는 조약을 비난하는 결의를 채택함으로써 그렇게 했다"면서 "나치와 거래했던 다른 나라들도 정치 지도자들의 선언이 아닌 정치적 결정을 통해 이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