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中·EU와 '터키 휴대전화 세이프가드' 공조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우리 정부가 터키의 휴대전화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에 맞서 중국과 베트남, 유럽연합(EU) 등과 공동대응을 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27일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세계무역기구(WTO) 세이프가이드위원회에서 터키의 휴대전화 세이프가드와 관련해 관련국이 터키를 상대로 공동협의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미국도 공동대응에 보조를 맞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터키 정부는 지난해 12월 현지업체인 베스텔사의 제소로 수입 휴대전환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사를 개시했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상품 수입 급증으로부터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취하는 긴급수입제한조치다.
그러나 우리 정부와 업계는 WTO 협정상 세이프가드 발동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우선 우리의 주력수출품은 스마트폰이지만 제소자 베스텔사는 지난해 8월 이후 스마트폰 생산을 개시했고, 조사기간(2009∼2013년) 중 터키측 생산자는 피쳐폰만 소량 생산해 '동종상품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판단이다.
또 조사대상 기간 5년간 수입 휴대전화의 연평균 성장률은 2.7%에 불과해 수입증가 급등 요건도 충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터키 정부의 세이프가드 조사 결과 발표는 올해 9월께로 예상되고 있다. 조사기간이 6개월 정도 연장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관련 업계와의 긴밀한 협의와 필요시 수입규제대책반 터키 추가 파견 등을 통해 세이프가드 조치가 발동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한편, EU나 중국, 베트남 등 제3국과 긴밀한 공조대응 체제를 유지해 터키 정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기로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브랜드 휴대전화의 대터키 수출은 연간 25억∼30억달러에 이르고, 시장점유율도 삼성전자가 1위(50% 이상), LG전자가 7%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