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이란 "이란 핵협상 마감시한 넘길수도"
(제네바=연합뉴스) 류현성 특파원 = 미국과 이란이 이란 핵협상 과정에 진전이 있다면 31일(현지시간) 자정까지인 마감시한과 관계없이 내달 1일까지 시한을 연장할 수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AFP 등 외신이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의 한 고위 관리는 "현재까지 대표단의 귀국 계획 등이 결정된 것이 없으며, 지금까지의 협상 진전상황을 평가하고 있다"면서 "협상이 계속 진전되고, 또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내일까지 시한을 연장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란의 한 협상 관계자도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협상에 복귀한 이후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사안의 복잡성과 이번이 이 문제를 다룰 마지막 시점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속도가 매우 늦은 편이며 우리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이란 관계자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주요 쟁점에 대해 양측의 대안이 제시됐고 이에 대한 이견 조율을 통해 우리는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해결책이 마련될 때 협상이 끝나게 되고 우리는 시계를 보지 않고 계속 협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과 미국 등 주요 6개국 외무장관들은 기술과 경제 및 에너지 제재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협상안을 계속 조율하면서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막기 위한 12년간의 협상을 끝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도 큰 상태이다.
미국 등 주요 6개국은 원심분리기 수를 줄여 이른바 '브레이크아웃타임'(핵무기 제조를 결심한 시점부터 핵물질을 확보하기까지 기간)을 늘려 핵무기 제조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대폭 축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란은 핵 프로그램이 평화적 목적을 위한 것이라며 자국 경제의 숨통을 막는 경제 제재를 즉각 해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처럼 주요 쟁점에 대한 양측의 의견이 너무 달라 이날 자정까지 합의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이다. 주요 쟁점은 합의안의 유효기간, 대이란 경제 제재 해제 시점, 이란의 합의안 불이행 시 안전확보 방안 등이다. 현재까지 가장 의견이 대립되는 쟁점은 경제 제재 해제 시점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