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걸 한샘 창업주, 연구재단에 4천400억원 출연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26 08:25:41
  • -
  • +
  • 인쇄
한샘드뷰 연구재단…한국의 미래전략 개발과 인재육성 목적
△ 한샘드뷰 디자인센터 전경 (서울=연합뉴스) 한샘은 26일 조창걸 명예회장이 '재단법인 한샘드뷰 연구재단'에 한샘 지분 60만 주를 기부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25일 종가(17만6천원) 기준으로 1천56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조 회장은 이를 시작으로 200만 주(약 3천400억원)를 추가로 출연해 자신이 보유한 한샘 주식 534만 주 중 절반인 260만 주를 재단 운영에 내놓을 계획이다. 사진은 한샘드뷰 디자인센터. 2015.3.26 << 한샘 제공 >> photo@yna.co.kr

조창걸 한샘 창업주, 연구재단에 4천400억원 출연

한샘드뷰 연구재단…한국의 미래전략 개발과 인재육성 목적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조창걸 한샘 창업주가 한국의 미래를 개척할 전략을 개발하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사재 4천400억여원을 공익재단에 출연한다.

한샘은 26일 조창걸 명예회장이 '재단법인 한샘드뷰 연구재단'에 한샘 지분 60만 주를 기부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25일 종가(17만6천원) 기준으로 1천56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다.

조 회장은 이를 시작으로 200만 주(약 3천400억원)를 추가로 출연해 자신이 보유한 한샘 주식 534만 주 중 절반인 260만 주를 재단 운영에 내놓을 계획이다.

조 회장의 뜻에 공감하는 개인, 기업, 단체의 참여도 받아 재단을 운영할 예정이다.

한샘드뷰 연구재단은 조 회장이 2012년 세계 속에서 한국의 미래 전략을 개발하고 한국과 동북아, 나아가 세계를 이끌어갈 미래의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개인 자격으로 설립한 공익법인이다.

재단의 이름인 드뷰(DBEW·Design Beyond East & West)는 '동양과 서양을 뛰어넘는 디자인'이라는 한샘의 디자인 철학에서 따왔다.

조 회장이 수천억원을 연구재단에 출연하기로 결심하게 된 이유는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올바른 해결책을 제시하는 싱크탱크(Think Tank)가 국내에는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경술국치, 남북분단, 6·25전쟁 등 한국의 현대사가 아픈 기억으로 점철된 것이 미래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대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더욱이 한국은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일본과 러시아 등 주변 강국들 사이에 자리하고 있어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미래 전략을 연구하는 기관 설립이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선진국에서는 고급 인재가 공직을 마치고 난 후 싱크탱크에서 국가 발전을 위한 전략을 만들고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된 지 이미 오래다.

재단 관계자는 "한샘드뷰 연구재단은 조 회장의 사재 출연을 계기로 장학 사업과 국내·외 학술 연구비 지원 사업은 물론, 미래를 위한 한국의 전략 수립과 리더를 육성하는 대한민국 대표 싱크탱크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