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토니 애벗 호주 총리 (EPA=연합뉴스) |
호주 총리, 원주민 관련 발언 구설…또 자질 논란
"원주민의 오지 생활은 '생활방식의 선택'"
(시드니=연합뉴스) 김기성 특파원 = 잦은 말실수와 경솔한 행보로 자질 논란을 빚어 온 토니 애벗 호주 총리가 또 구설에 올랐다.
애벗 총리는 10일 밤 공영 ABC 방송에 출연, 오지의 원주민 공동체 문제를 언급하는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오지 생활을 '생활방식의 선택'(lifestyle choice)으로 묘사해 원주민 사회의 반발을 샀다.
애벗 총리는 이 자리에서 광활한 서호주 지역 100여개 이상의 원주민 공동체에 기본적인 공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다면 이들을 폐쇄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애벗 총리는 이어 납세자들은 합리적 방식으로 합리적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면서 다만 "'생활방식의 선택'이 호주 사회의 완전한 참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언제까지나 그 선택을 보조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원주민들의 오지 생활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단순히 이를 '생활방식의 선택'으로 규정해 논란과 반발을 자초한 셈이다.
최소 4천 년 이상 호주에서 생활해 온 원주민들은 현재 약 2천300만명의 호주 인구의 2.4%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변방으로 밀려나 생활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가장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 비해 기대수명도 훨씬 짧고 실업률도 높다.
연방 정부는 서호주 원주민 공동체에 연간 3천만 호주달러(257억원)를 지원하고 있으나 앞으로 2년 내에 이를 중단할 방침이다.
애벗 총리의 발언이 알려지자 원주민 사회는 "황당하다"면서 크게 반발했다.
총리의 원주민문제 고문인 워런 먼딘은 원주민들은 그들의 땅과 깊은 문화적 관계가 있다며 이를 단순히 미개척지에 사는 문제로 규정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열 척의 카누'(Ten Canoes) 등 원주민 영화 여러 편을 감독한 롤프 드 히어는 일간 시드니모닝헤럴드에 "그의 무지를 보여준 것으로 호주 총리가 될 자격이 없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지난해 캐나다를 찾은 애벗 총리는 캐나다를 '캐나디아'(Canadia)로 지칭했다가 조롱을 샀으며, 지난달에는 자국인 마약사범 2명의 사형을 집행하려는 인도네시아 정부를 향해 '쓰나미 성금 보낸 것을 기억하라'고 위협했다가 역풍을 맞았다.
파문이 확산하자 애벗 총리는 11일 오지에서 지내면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도 어렵고, 어른도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사정을 언급한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