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우크라 휴전협정…중화기철수 합의 안 지켜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17 16:59:32
  • -
  • +
  • 인쇄
데발체베 교전도 지속…정부군-반군, 서로 책임 전가

위기의 우크라 휴전협정…중화기철수 합의 안 지켜져

데발체베 교전도 지속…정부군-반군, 서로 책임 전가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우크라이나 동부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교전을 중단시키기 위한 휴전협정이 17일(현지시간)로 발효 사흘째를 맞았지만 합의 사항들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협정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양측이 교전을 완전히 중단하지 않은 것은 물론 또 다른 합의 사항인 중화기 철수에도 착수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양측은 그 책임을 서로 상대방에게 미루고 있다.

BBC 방송 러시아어 인터넷판 등에 따르면 안드레이 리센코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대변인은 전날 반군이 여전히 휴전협정을 위반하고 있기 때문에 중화기를 철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중화기 철수 조건은 교전 중단인데 15일 휴전협정 발효 이후 반군이 (동부 도네츠크주) 데발체베를 중심으로 112회의 포격을 가했다"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군이 중화기를 철수할 순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반군 세력인 '도네츠크인민공화국' 국방부 대변인 에두아르트 바수린은 같은날 정부군이 휴전 조건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정부군이 지난 24시간 동안 반군 지역에 49회의 포격을 가했다"면서 "정부군 진영에선 교전 중단도 중화기 철수 준비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반군의 중화기 철수는 정부군의 철수와 동시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군과 반군이 서로 휴전 합의 불이행 책임을 상대방에 미루며 중화기 철수를 거부하는 상황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12일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회담을 통해 체결된 민스크 휴전협정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은 휴전 개시 이틀 내에 중화기 철수를 시작해야 한다. 양측이 전선에서 대포, 다연장포 등의 중화기를 철수함으로써 50~140km 폭에 이르는 비무장지대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15일 0시를 기해 휴전 협정이 발효했으므로 17일 0시 이전에 중화기 철수가 이루어졌어야 하지만 아직 어느 쪽에서도 이 합의를 이행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도네츠크주 동부 도시 데발체베(러시아명 데발체보) 등을 중심으로 산발적 교전도 계속되고 있다.

리센코 대변인은 "15~16일 이틀 동안 반군 공격으로 정부군 5명이 숨지고 25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반면 반군은 정부군이 포위망을 뚫기 위한 공격을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반군은 데발체베를 완전히 포위했고 포위망 안에 수천명의 정부군이 갇혀 있다며 정부군이 무기와 장비를 버리고 나오면 퇴각로를 보장하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정부군은 데발체베 포위 주장은 반군의 심리전이라면서 아직 보급로가 유지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부군 공보관 블라디슬라프 셀레즈네프는 민스크 협정에 따르면 데발체베는 정부군 통제 지역에 속한다며 도시를 반군에 넘겨줄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데발체베 지역에서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이 격화하고 이를 빌미로 양측이 중화기 철수를 거부할 경우 민스크 휴전 협정이 중대한 위기에 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은 전날에 이어 16일 저녁에도 전화통화를 하고 민스크 휴전협정 이행 상황을 논의했다.

이날 통화에서 정상들은 데발체베 지역 등에 대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감시단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구체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했다고 독일 정부 대변인이 17일 밝혔다.

한편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UNOCHA)은 이날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교전이 시작된 지난해 4월부터 지난 2월 12일까지 5천617명이 사망하고 1만3천400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