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선 회의 전체 보이콧 주장도…출산 장하나도 출석 검토
<野, 심야까지 '반대의 기술' 고심…내일 의총이 관건>(종합2보)
인준표결 본회의 참석의견 우세…반대표시 방식엔 이견 팽팽
일각선 회의 전체 보이콧 주장도…출산 장하나도 출석 검토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송진원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은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 표결을 하루 앞둔 15일 대응 방향을 놓고 막판 고민을 거듭했다.
이미 본회의를 한차례 연기, 더이상 새누리당의 강행처리 시도를 저지하기는 어려워진 상황에서 선택의 기로에 몰리면서다.
현재 가능한 선택지는 ▲본회의 보이콧 ▲반대표결 ▲본회의 참석 후 표결 불참 등 3가지이지만, 이 중 어떤 것도 '묘책'이 될 수 없다는 게 문제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후 늦게까지 원내대책회의와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3가지 안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고심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한채 의총에서 의원들의 생각을 모두 들어본 후 입장을 정하기로 했다.
우선 원내 지도부가 파악한 흐름으로는 소속 의원들의 의견은 본회의 보이콧보다는 일단 참여하는 쪽에 무게가 다소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후 본회의에서 반대 표결에 나설지, 의사진행 발언으로 반대 의견만 드러낸 후 표결 때 회의장에서 나올지는 의견이 팽팽하게 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표결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이미 한차례 국회 본회의를 연기시킨 마당에 무작정 보이콧할 명분이 적다는 점을 이유로 들고 있다.
특히 문 대표의 여론조사 제안이 '국회 무시'라는 역풍에 부딪힌 것도 "반대할 때 반대하더라도 들어가서 표를 던지는 게 낫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 요인으로 꼽힌다.
반대로 본회의 참석 후 표결을 거부하는 쪽에서는 "여당의 총리 인준에 들러리를 설 수는 없으니, 반대 의견을 충분히 표시하되 표결은 하지 말자"는 논리를 펴고 있다.
아울러 표결 결과 이 후보자와 동향인 충청 출신 의원과 중도파 일각 등에서 이탈표가 나온다면, 적잖은 내부 후유증에 시달릴 수 있다는 점도 표결 거부의 근거로 거론된다.
여기에 강경파들은 아예 본회의 자체를 보이콧 하자는 주장도 내놓고 있어, 의총 결과에 따라 본회의가 파행할 가능성도 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심야 최고위 후 기자들과 만나 "너무 팽팽하다보니 원내대표나 당대표가 독단적으로 정할 수가 없다. 의총에서 어느 쪽으로 결론이 날지 장담을 못하겠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본회의에 들어가지 말자는) 강경파들이 세게 발언할 수도 있다"며 "그럴 경우 다른 의견들이 잦아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지도부는 특정 입장을 정하기보다는 '빈 손'으로 의총에 들어가 의원들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문 대표는 심야 비공개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어느 쪽 의견이 많으냐"는 의견에 "의총도 하기 전에 그것을 말할 수가 있느냐"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강경파의 목소리가 많이 나올 수도 있으나, 의원들의 의견을 전부 물어 한표라도 많이 나오는 쪽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표결에 대비해 의원 총동원령을 내렸고, 원내대표실에서는 전체 130명 중 125명 이상이 참석하리라고 내다봤다.
우 원내대표는 "출산을 마친 장하나 의원까지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고, 정청래 최고위원도 "지금은 입장이 팽팽하지만, 의총에서 결론이 나면 모두 힘을 합쳐 질서정연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