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 시설물 인수 나서

박경수 기자 / 기사승인 : 2016-04-24 13:14:11
  • -
  • +
  • 인쇄

[인천=부자동네타임즈 박경수 기자]인천시가 일반도로로 전환하는 경인고속도로 인천 기점~서인천IC 구간 10.5㎞의 시설물을 이관받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와 합동으로 인수인계단을 구성했다.

시는 16개 분야 32명으로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구간 시설물 인수단을 구성했으며 다음달 2일 실무회의를 갖고 ‘유지관리 매뉴얼’ 등에 대해 서면 점검을 실시한 후 도로공사와 함께 7월 1일까지 현장을 점검한다고 22일 밝혔다.

점검 대상은 도로포장, 교량, 옹벽, 방음벽, 교통안전시설, 전기시설 등으로 육안 점검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게 된다.

시는 점검 결과를 토대로 기존 시설물에 대한 보수 및 보강 범위를 결정한다.

향후 일반도로화와 관련된 개량 범위와 비용은 시, 국토교통부, 도로공사 간 3자 협의를 통해 확정할 계획이다.

시는 이미 지난 2007년 경인고속도로 인천 기점~서인천IC 구간 일반도로화에 대비해 ‘경인고속도로 간선화 타당성 분석 및 기본설계용역’을 발주하고 ‘도화 및 용현 거점 개발 기본구상 수립’에 착수했었다.

경인고속도로 간선화 기본설계용역은 일반(간선)도로 전환을 전제로 도로설계, 도로조경, 가로경관, 야간경관, 신교통수단(노면전차) 도입 등의 과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수성 컨소시엄이 23억여원에 수주하고 진행했으나 중도에 중지됐다.

당시 시의 구상은 고속도로 양측 방음벽을 모두 철거하고 고속도로와 측도를 합쳐 폭 50m 가운데 중앙에 4차로(폭 20m)의 도로 및 노면전차 궤도를 건설하는 한편 양측에는 산책과 문화활동을 즐길 수 있는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적 연도를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또 도로 주변 중 도화 거점 56만9000㎡와 용현 거점 20만9000㎡를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고 도시개발사업을 벌여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주변 전체의 개발을 유도해 나간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러한 시의 계획은 경인고속도로의 일반도로 전환이 지연되면서 장기간 표류하고 있으나 내년에 인천 기점~서인천IC 구간 관리권이 도로공사에서 인천시로 넘어오면 상당 부분 반영할 수 있다.

시가 2007년 구상을 전면 폐기할지, 일정 부분 수용할지는 두고봐야 하겠지만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적 연도 조성’은 상당한 설득력을 지녔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평가다.

당시 용역에서는 일반도로화 구간의 교통분석 및 평가, 공사시행방법, 사전환경성 검토, 최적 노선 및 도로표준단면결정, 경제성 및 민자 사업성 등이 상당한 수준까지 검토됐다.

노면전차 도입은 백지화하거나 민자유치로 추진하더라도 경인고속도로 인천 구간 일반도로 전환은 주변 도로와의 단차 해소와 교차로 설치 등 수천억원의 사업비가 들기 때문에 시의 재정난을 감안하면 국비 지원 규모가 사업 추진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계획의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경인고속도로 인천구간 일반도로화 사업은 평면일 경우 약 4000억원, 지하화할 경우 약 8000억원이 들 것으로 개략 추산하고 있다”며 “일반도로화에 들어가는 예산은 최대한 국고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정교한 논리를 개발하고 정부 설득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