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임시주총 때 신임 사장 후보 의결 저지 예정
(서울=포커스뉴스)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 대우건설지부(이하 대우건설 노조)가 최근 박창민 후보의 대우건설 차기 사장 추대에 대해 전면 반대하고 나섰다.
대우건설 노조는 지난 10일 정치권과 연루된 심각한 의혹을 갖고 있는 박 후보의 사창 추천을 즉각 철회할 것을 대주주인 산업은행 측에 촉구했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8일 대우건설은 정기이사회를 개최해 박 후보를 신임 사장에 최종 선임하기로 결정했다. 박 후보의 사장 선임 여부는 오는 23일 임시주주총회에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건설 노조 관계자는 "지난 8일 이사회 장소가 갑작스럽게 바뀌고, 회의 진행 중에도 지홍기 사외이사가 이탈하는 등 박 후보 추천 과정에서 투명하지 못한 모습이 자주 비춰졌다"며 "차기 사장 선임 작업이 공정한 경쟁 논리가 아닌 정치 논리에 휩쓸려 많은 의혹을 양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렇게 대우건설 노조가 후보 추대를 반대하는 것은 박 후보가 정치권의 낙하산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박 후보는 1979년 현대산업개발에 입사, 건축본부를 거쳐 영업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지난 2011년부터 2014년에는 현산 사장 자리에도 올랐다.
박 후보는 한국주택협회 회장직도 오랫동안 역임했을 만큼, 주택·건설은 물론 정·재계 관련의 넓은 인맥을 확보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재개발 및 재건축 분야에 있어서는 발군의 능력을 발휘해왔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해외매출 비중이 40% 수준에 이르는 대우건설은 현재 해외 플랜트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안정적인 해외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뛰어난 해외수주 능력을 갖춘 적임자가 임명돼야 하는데, 박 후보는 해외경험이 전무해 이를 잘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또 박 후보가 대우건설에서의 경력도 없어, 대우건설 만의 기업문화에 생소한 점도 약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노조 측은 대우건설 사추위가 산업은행 출신 인사와 사외이사로 구성돼있다보니 정치권의 입김에서 자유롭기 어렵고, 이번 박 후보의 추대도 이 같은 선상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강력 비판하고 있다.
실제로 대우건설은 지난 6월 말 신임 사장 재공모를 의결하면서 몇몇 요건 중 '건설업 업무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해외수주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공지까지 한 바 있다.
하지만 정작 선임된 박 후보가 해외건설 분야 경험이 없다는 점으로 미뤄볼 때, 이번 인선은 대우건설이 정치권의 외압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자인하는 모양새가 됐다.
대우건설 노조 관계자는 "대우건설은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림산업 등 타사와 달리 오너가 없는 지배구조 상 CEO(최고경영자)가 중대 사안을 결정해야 하는 건설사"라며 "지금까지는 대우건설의 정체성과 문화를 공유한 내부 출신 CEO가 회사 경영을 일궈왔다. 하지만 기업문화를 잘 모르고 자격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 낙하산 CEO는 책임 경영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관계자는 "이번 박창민 후보 추천은 세계 시장으로 나가려는 대우건설의 미래를 망치는 비상식적이고 불공정한 조치"라며 "또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책 산업은행은 원래 목적을 상실하고 정치권에 휘둘리고 있다. 대우건설은 정권의 제물이 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노조 측은 대우건설 미래를 고려해 앞으로도 계속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할 방침"이라며 "현재 박 후보의 선임 반대 시위를 진행 중이며, 오는 23일 임시주총에는 신임 사장 후보 의결을 저지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