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60811_111640.png |
(서울=포커스뉴스) 정부는 세계적인 위협으로 급부상한 항생제 내성에 대응하기 위해 범부처 내성 관리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11일 오전 9시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6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개최해,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을 확정했다.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유행은 신종감염병과 유사한 파급력을 지니며 인류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2050년에는 전 세계 연간 1000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항생제 사용량, 내성률이 선진국 대비 높은 수준이어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항생제가 감기에 도움이 된다고 잘못 응답한 비율이 51%, 항생제를 임의로 복용 중단한 경험도 74%로 높게 조사되는 등,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에는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적정 사용을 유도하는 내용이 담겼다.
우선 의원급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급성상기도감염(감기 포함) 항생제 적정성 평가를 강화한다.
현재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에 따라 외래관리료(진찰료=기본진료비+외래관리료)의 1%를 가·감산하고 있으나, 단계적으로 3%(2019년)까지 확대한다는 것이다.
또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평가대상 수술을 늘리고, 우선순위를 검토해 2017년에 2개 수술이 추가될 예정이다.
아울러 항생제 처방 다빈도 질환(소아 및 성인의 상·하기도 질환)에 대한 지침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진료용 프로그램인 처방전달시스템(OCS)과 연동해 지침에 근거한 항생제 처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미 발생한 내성균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감염에 취약한 진료 환경을 개선하고 의료기관 감염관리 지원, 환자 전원 시 내성균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일반인들의 항생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범국가적 캠페인을 전개하고 11월 셋째 주 ‘세계 항생제 인식 주간’과 연계한 집중적인 홍보를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오늘 발표된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가 협업해 나갈 것”이라며 “과제별 세부행동계획 수립 및 정기적인 이행 점검을 통해 대책의 실효성을 높여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항생제 내성균 발생 및 전파 경로 <사진출처=보건복지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