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육아휴직제도 확대·개선 등 정부의 '일·가정양립 문화 확산' 관련 정책이 실제 기업 내에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전경련이 직장인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4.4%가 정부의 저출산 정책은 별 도움이 되지 않고 회사 내에서는 상사와 동료들의 눈치 때문에 육아휴직이나 유연근무제 등 적용이 힘들다고 답했다.
가장 주된 이유로는 ‘상사 및 동료들의 눈치(49.1%)’를 꼽았고, 다음으로는 ‘승진, 평가 등에 불이익(20.3%)’, ‘경영진의 의지 부족(16.7%)’, ‘일·가정 양립을 할 수 없는 업무강도(12.6%)’ 등의 이유였다.
또 평균 자녀 수(현재 자녀 수+향후 출산 계획 자녀 수)가 1.5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혼자의 평균 자녀 수는 1.8명이며, 미혼자의 경우 향후 출산 계획이 있는 자녀 수는 평균 1.1명으로 출산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38.3%에 달했다.
‘양육 주거비 등의 비용지원’에 해당하는 정책 중 출산율 제고에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는 ‘양육비 지원(60.6%)’, ‘임신․출산 지원(47.6%)’, ‘주거비 부담 경감(44.6%)’, ‘보육인프라 확대(43.4%)’ 등의 순이었다. 이 중 ‘임산․출산 지원’ 정책 과 관련하여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37.2%)’과 ‘산모․신생아 도우미 서비스(24.2%)’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직장여성들은 정부의 저출산 정책에 5.4%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만족 비율이 2.9%, 30대 2.0%, 40대 6.4%, 50대 이상 20.0%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기업에 속한 여성 근로자의 만족 응답(7.7%)이 300인 미만 기업에 속한 여성 근로자의 만족 응답(4.6%)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 7월 1일부터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맞춤형 보육제도’에 대해서는 직장여성들의 자녀 보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36.8%)이 그렇지 않다(21.8%)는 의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 향후 정부가 주력해야 할 정책으로는 응답자의 절반(47.8%)가량이 ‘일자리 문제 해결’이라고 답했으며, 기업이 노력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42.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자료=전경련><자료=전경련>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