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임종룡 "대우조선해양, 檢수사 확정 전까지 당국 역할 예단 어려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8-10 11:45:53
  • -
  • +
  • 인쇄
△ 금융위_160810_기자간담회_115.JPG

(서울=포커스뉴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분식회계 의혹 등으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수사 확정 전까지 구조조정 개선안 변경과 금융당국의 역할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10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정례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대우조선해양이 이번 금융감독원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서 구조조정 대상 기업으로 분류되지 않았다고 해서 구조조정이 필요없다는 얘기가 아니다"라고도 설명했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금감원의 신용위험 정기평가에서 C등급(워크아웃)이나 D등급(기업정리)기업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어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해양과 앙골라 국영석유회사 소낭골, SC등 글로벌 채권금융기관들과의 채무상환 유예협상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임종룡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지원안의 개선안을 검토할 것인가.
▲비리 수사는 필요하고 처벌할 부분이 있으면 진행돼야 한다고 본다. 수사와 별개로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 가능성을 감안해 채권단이 자구 노력을 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 경영진에 대한 문제는 수사 결과가 나와야 한다. 확정돼야 회사나 채권단이 무엇을 해야할지 나올 것이다. 수사 결과 확정 전까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대우조선해양의 '소낭골 협상' 은 어떻게 할 것인가.
▲소낭골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낭골 협상이 잘 마무리돼야 대우조선해양이 1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받는데 그냥 놔두면 어떻게 되겠나.

-대우조선해양은 왜 C,D등급에서 빠졌나.
▲대우조선해양은 경기민감업종으로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이미 진행 중이며 대기업그룹 및 개별기업 구조조정 방향에 따라서도 그룹 전체에 대해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체결하고 자구계획을 이행 중이다.

-우리은행 민영화 일정은 어떤가.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에 대해서 분명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고 있다. 민영화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이 있다. △성공적인 매각을 위한 시장 상황 점검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맡고 있는 매각 방식 등이다. 구체적으로 시장 수요를 파악해 맞춘 틀로 매각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 현재 예금보험공사와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등이 노력 중이며 매각계획방안 등이 너무 늦어지지 않게 할 것이다.10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정례 간담회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답변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금융위원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