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6-08-09 18;07;49.JPG |
(서울=포커스뉴스) 고흥유자차 등 지역특구에서 생산되는 우수제품들이 수출지원기관들로부터 집중·밀착 지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청(이하 중기청)은 9일 지역특구 제품의 수출 촉진과 특구내 창업 활성화를 주 내용으로 한 '지역특구 발전을 위한 수출촉진 및 창업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국 178개 지역특구에서 생산하는 제품 가운데 수출 실적과 유망성 등을 평가해 100대 수출 품목을 선정, 해외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특구제품 상징 마크 사용권이 부여된다.
또 100대 수출 품목을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과 역직구몰 판매 전문 기업에 추천해 제품 현지화, 등록, 배송 등 수출 전 과정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특구 유망 제품을 중소기업유통센터의 제품 발굴·연계 시스템 '아임스타즈'에 등록을 지원해 대형마트, 온라인몰 등 유통망 진입을 촉진한다.
수출 경쟁력을 단계별(초기 50개, 유망 30개, 전략 20개)로 나눠 각 단계에 맞는 수출 유관 기관(중소기업진흥공단, 코트라, 무역협회)의 수출지원 사업과 연계한다.
지역특구를 통한 창업 활성화에도 나선다. 178개 지역특구에 대한 창업 친화도를 파악·분석해 창업 활성화 수준과 기술 수준이 높은 5개 안팎의 창업선도특구를 지정해 창업지원 사업과 연계 지원하고, 해당 시·도와 협의해 창업규제 완화 등을 추진한다.
특구 내 창업자를 대상으로 전국 창업보육센터 및 시니어기술창업센터와 연계해 사무 공간을 제공하고, 시제품 제작·홍보·마케팅 등 창업에 필요한 중기청 지원 사업과 연계해 지원한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지역특구제도는 수출, 창업, 고용창출로 지역발전에 활기를 불어 넣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제도"라면서 "지역특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여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특구제도는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 특례법에 따라 58개 법률과 129개의 규제특례를 지역 특성에 맞게 선택 적용, 지역 특화사업을 추진하도록 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제도다. 현재까지 전국 134개 시·군·구에 178개 지역특구가 지정돼 있다.지역특구제품 상징 마크.<사진제공=중기청>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