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정유미·최우식…캐스팅, 별얘기 안한 덕분?"
"마동석-정유미 부부, 원래 설정은 연상연하 커플"
![]() |
△ [K-포토] 인텨뷰 하는 연상호 감독 |
* 해당 기사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서울=포커스뉴스) 공유도, 정유미도, 최우식도 연상호 감독과의 첫 만남 후 '부산행' 출연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도대체 무슨 얘기를 했냐고 묻자, 세 배우는 모두 "별 이야기는 안 했던 것 같은데요"라고 입을 모았다.
'부산행'은 연상호 감독의 첫 실사영화 연출작이다. 전작은 모두 애니메이션 작품이었다. 배우들이 선뜻 출연을 결정하기가 어려웠을 수 있다. 심지어 소재는 좀비, 한국 상업영화에서 보기 힘든 소재다. 탑승을 머뭇거리게 하는 요소를 찾아보면 많다.
하지만 결국 '부산행'은 공유, 정유미, 마동석, 최우식, 안소희, 김의성, 김수안 등을 성공적으로 탑승시켰다. 그 중심에는 연상호 감독이 있었다.
-공유, 정유미, 마동석, 최우식, 안소희, 김의성, 김수안 등 첫 실사영화에 출연배우들의 이름이 화려하다. 그중 공유, 정유미, 최우식은 감독님과의 첫 만남에 출연을 결정했다고 하더라. 비결이 있나.
▲"별 얘기 안 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정확하게 잘 모르겠어요. 진지한 이야기는 많이 안 했던 것 같아요. 제가 헛소리를 많이 하고, 사람이 좀 가볍고 그렇거든요. 배우들이 그런 저를 뭘 보고 믿어줬는지 모르겠어요. 성향이 잘 맞았던 것 같아요.(웃음)"
-성향이 잘 맞았던 것은 촬영 현장에서도 그랬나 보다. '부산행'은 정말 밤에 찍어야 하는 장면 외에는 밤샘촬영이 없었다고 들었다.
▲"촬영 현장에는 현장 편집본(촬영한 장면을 이야기 순서대로 붙여놓는 작업)이 있어요. 그것을 토대로 충분히 이야기하고 결정하는 거였어요. 사실 제가 애니메이션 작업을 해서 그런지, 예비 컷이라는 개념이 없기도 해요. 예비로 찍는다는 개념을 잘 모르겠더라고요. '부산행'이 빠른 속도감을 가진 영화라서 가능했던 것 같기도 있고요. 촬영을 시작하기 전마다 회의했어요. '오늘 찍을 분량은 어디까지고, 확실히 등장해야 하는 부분은 이렇다'라고요. 연기는 배우들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하는게 맞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큰 흐름 외에 얘기한 게 많지는 않았어요."
-처음 '부산행' 이미지를 접하고, 당연히 공유가 주인공인 줄 알았다. 하지만 마동석, 정유미, 최우식 등 배우들의 비중이 비슷하더라. 그리고 각각 말하고자 하는 감정도 분명히 전달된다. 다양한 인물의 모습을 펼쳐놓는 작업이 어려운데 말이다.
▲"초반에는 한 인물을 중심으로 풀어나가려고 했어요. 그게 사실 좀더 쉽잖아요. 드라마를 강하게 가져가기도 그렇고요. 그런데 군중극 형태로 가는 게 어떠냐는 의견이 나왔어요. 그 의견이 받아들여져, 몇몇 설정을 나누기 시작했어요. 공유 씨가 제일 결정을 잘 해준 거죠. 주연으로서 돋보이는 무언가를 가져가려 하지 않고, 군중극으로 영화를 만드는 것을 존중해줬어요. 자기만 돋보여야겠다는 생각은 초반부터 없더라고요. 고마웠죠."
-마동석과 정유미를 부부로 설정한 것이 신선했다. '도가니'(2011년)에서 공유와 정유미가 함께 등장했었기 때문에 정유미는 당연히 공유의 파트너일 거라고 생각했다.
▲"시나리오상에서는 사실 연상연하 커플이었어요. 그런데 마동석 선배를 캐스팅하고 보니, 그를 휘어잡을 수 있는 여성은 누구일까 고민이 되더라고요. 그러다가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펄프픽션'(1994년)이 떠올랐어요. 브루스 윌리스의 연인으로 귀여운 여배우(마리아 드 메데이로스)가 등장하는데, 그 케미가 좋더라고요. 그래서 정유미라는 배우가 어울리겠다고 생각했어요. 두 배우가 함께 연기하는 모습을 봤는데 '와, 됐다' 싶더라고요."
-'부산행' 촬영 중 추가된 장면도, 없어진 장면도 있다. 좀비로 변한 마동석을 바라보는 정유미의 모습은 빠졌고, 최우식과 안소희의 마지막을 좀더 길게 보여주는 것은 추가된 장면이라고 들었다.
▲"마동석 선배가 좀비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는 게, 연출적으로 위험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글로는 '그럴 수도 있겠다'라고 했는데, 막상 보여주려니 관객의 감정이 깨질까 위험해 보이더라고요. 최우식과 안소희의 장면이 추가된 이유는 뉘앙스의 문제였어요. 두 사람은 10대의 철없고, 가벼운 모습을 보여주길 바랐거든요. 하지만 두 사람의 끝에는 감정이 더 실리길 바랐어요. 그 장면은 딱, 촬영 당일에 결정했어요."
-마동석은 맨 앞에서 맨주먹으로 싸우고, 공유는 전투경찰의 방패를, 최우식은 야구방망이를 들고 좀비들에 맞선다. 이유가 있나.
▲"무술감독이 컨셉은 있어야 하지 않겠냐는 말을 했어요. 사실 후보들이 몇 개가 있었어요. 그런데 공간이 기차 안인 만큼, 동선을 너무 가리는 것들은 탈락했고요. 무기가 일종의 캐릭터를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마동석 선배는 원래 비상용 망치를 주먹에 끼고 싸웠었어요. 그런데 마동석 선배가 맨주먹이 나을 것 같다고 하시더라고요. 공유는 원래 곤봉같은 무기였어요. 그런데 최우식이 야구방망이를 들고 싸우는데, 이미지가 겹쳐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방패로 바뀌게 됐어요."
-첫 실사영화 현장을 경험했다. 그리고 천만 감독이 되지 않을까 예상하는 목소리가 크다. '부산행'과 '서울역' 상영 후 연상호 감독의 차기작이 궁금하다.
▲"사실 지금의 흥행속도가 실감이 안 나요. 좀 정신없기는 한데요. 담담하려고 노력하고 있죠. 사실 숫자 자체에서 실감이 안 나서.(웃음) 아마 다음 작품도 실사영화를 할 것 같아요. 한 편 더 실사영화를 보여드리지 않을까 싶습니다."(서울=포커스뉴스)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영화 '부산행'의 연상호 감독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6.07.26 김유근 기자 '부산행' 촬영 현장 모습. <사진제공=NEW>'부산행'에서 부부로 등장하는 정유미(왼쪽)와 마동석의 모습. 사진은 영화 스틸컷. <사진제공=NEW>마동석, 공유, 최우식(왼쪽부터)의 영화 '부산행' 스틸컷. <사진제공=NEW>(서울=포커스뉴스)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영화 '부산행'의 연상호 감독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6.07.26 김유근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