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공백 장기화 우려…대내·외적 이미지 손실 우려돼
(서울=포커스뉴스) 대우건설의 차기 사장 인선 작업이 표류하고 있다. 지난 20일 대우건설 사장추천위원회(이하 사추위)에서 차기 사장 선임이 파행에 이른 이후, 향후 일정 및 절차가 윤곽조차 잡히지 않고 있다.
지난 5월 차기 사장 선임에 돌입한 대우건설은 이후 2개월 간 재공모까지 실행했음에도 불구, 아무런 소득을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우건설은 박영식 전 사장의 임기가 지난 14일 만료돼 '경영공백'이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당초 박영식 전 사장과 이훈복 전무 등 차기 사장 후보를 2명으로 압축한 상태였다. 하지만 이후 약 2주 가까이 인선 작업이 늦어지면서, 낙하산 인사에 대한 우려가 조금씩 커지기 시작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 출신 인사 2명과 사외이사 3명 등 총 5명으로 구성된 대우건설 사추위가 정치권의 외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기 때문이다.
급기야 사추위는 기업가치 제고를 이유로 지난달 23일 외부인사를 포함한 재공모 절차를 밟기로 의결했고, 업계는 이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웠다.
하지만 이달 13일 대우건설 측이 재공모를 통해 조응수 전 부사장과 박창민 전 현대산업개발 사장을 최종 후보로 추리자, 여론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악화됐다. 후보인 박 전 현산 사장은 한국주택협회 회장직을 역임해 정·재계 인맥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우건설에서의 경력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현재 대우건설은 사추위 일정, 대안 조율 등 차기 사장 인선 절차와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 가운데 야당 측까지 낙하산 인사를 꼬집고 나섰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최근 "연매출이 10조원에 달하는 건설사의 사장 선임 과정이 이토록 허술할 수 있는 지 의문"이라며 "산업은행이 대주주인 대우건설 사장의 선임 파행사태가 목불인견"이라고 비판했다.
또 "사장 인선 절차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야 한다"며 "대우건설이 정권의 외압에 굴복해 낙하산 인사가 사장이 된다면 국민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대우건설은 오너가 없는 회사라는 인식이 강해, 사장 인선과 관련해 작으나마 석연찮은 문제만 발생해도 부정적인 여론이 빨리 형성되는 핸디캡을 안고 있다"며 "우수한 시공 실적, 해외 인프라 경쟁력을 갖춘 회사가 이런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노조 관계자는 "현재 건설업황 자체가 녹록치 않은 분위기라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장이 하루속히 임명돼야 하는데, 인선이 계속 늦어지고 있어 걱정"이라며 "선임 연기에 따른 경영공백도 큰 문제지만, 회사의 대내·외적 이미지 손실이 장기화되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