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한화가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지가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에서 277위에 올랐다고 24일 한화그룹이 밝혔다. 이는 지난해 329위에서 52계단 상승한 성적이다.
포춘지는 지난 1990년부터 글로벌기업의 매출액 기준으로 매년 순위를 발표해오고 있다. 한화는 2015년 37.5조에서 2016년 41.4조로 매출이 신장해 순위가 크게 올랐다.
한화그룹은 "㈜한화 급신장의 배경은 지난해 M&A를 통해 삼성에서 한화그룹으로 편입된 한화토탈, 한화종합화학, 한화테크윈, 한화탈레스 등 4사의 실적향상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한화토탈은 저유가 기조에서 에틸렌 제품 가격이 유지돼 높은 마진을 얻을 수 있었고,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로 안정적인 수익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또 인수 전까지 업황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던 한화종합화학은 지난해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를 거뒀다.
한화테크윈은 방산과 엔진부품을 중심으로 한 사업구조 재편과 장기공급계약 확대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엔진의 생산증가 및 엔진부품 수주 확대, K9 자주포의 안정적 양산과 해외수출 등이 실적을 이끌고 있다.
한화탈레스 또한 레이다, 전자광학장비, 전술통신시스템, 전투지휘체계, 사격통제장비 등의 분야에서 호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5월에는 한화디펜스가 한화그룹에 새로 합류하기도 했다. 그룹 측은 "㈜한화의 탄약‧정밀무기에 테크윈의 포병장비‧항공기엔진, 탈레스의 지휘통제 및 감시‧정찰체계, 한화디펜스의 기동 및 대공‧유도 무기까지 더해져 방산 계열사들의 시너지를 통해 2017년에는 추가적인 순위 상승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화그룹은 태양광 사업과 보험 사업도 글로벌 기업 순위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한화큐셀의 태양광 사업은 지난해 4월 미국 넥스트에라 에너지와 1.5GW 규모의 모듈 공급 계약을 체결, 단일 계약으로는 최대 규모 수주를 이뤄냈기 때문. 현재도 한화큐셀은 글로벌 시장공략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한화생명은 국내보험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해외시장까지 적극 공략, 2009년 국내 생명보험사로는 최초로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기도 했다. 이후 2012년 중국, 2013년 인도네시아 법인을 설립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