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수많은 손에 둘러싸인 진경준 |
(서울=포커스뉴스) 이른바 '주식대박'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진경준(49)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의 비위 혐의가 끝을 모르고 확산하고 있다.
이금로 특임검사팀은 21일 진 검사장이 김정주 NXC(넥슨 지주회사) 대표와 넥슨 돈으로 해외 가족여행을 다녀왔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진 검사장이 수년간 김 대표와 해외 가족여행을 즐기면서 넥슨의 자금을 쓴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정황은 계좌추적 과정에서 드러났다. 넥슨의 회삿돈이 여행사에 지급된 점을 수상하게 여긴 검찰이 수사 도중 해당 금액이 진 검사장과 김 대표의 여행경비였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다만 넥슨은 진 검사장에게 여행경비와 비행기표를 제공한 뒤 일부 금액에 대해서는 돌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검찰은 진 검사장 가족 여행비용의 대부분을 넥슨 측이 부담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혐의 입증을 위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 17일 검찰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및 제3자 뇌물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진 검사장을 구속한 바 있다.
진 검사장은 지난 2005년 김 대표에게 4억2500만원을 받아 넥슨 비상장 주식을 사들인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처남 명의로 제네시스 차량을 제공받은 혐의도 있다.
검찰은 19일 진 검사장이 넥슨 주식 매각을 통해 얻은 재산 등 범죄수익을 묶어두기 위해 서울중앙지법에 '기소 전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검찰은 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을 적용해 현재까지 확인한 진 검사장의 예금 채권과 부동산 등 140억원 상당의 재산에 대해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은 공무원이 형사사건에서 기소되기 전에 검찰이 법원에 몰수·추징보전을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수사 중 재산을 숨기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법원이 검찰의 청구를 받아들일 경우 추징보전된 재산은 법원 확정 판결 때까지 처분할 수 없다.'주식 대박' 논란에 휩싸인 진경준 검사장이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출석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16.07.14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