⑦ 정치권에서 나오는 '우병우 사퇴' 주장…與도 방어 포기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7-20 18:23:16
  • -
  • +
  • 인쇄
야권과 악연 우병우…2野 일제히 "사퇴하라" 십자포화

與내 친박 위상 저하 속 비박계 '사퇴' 촉구

'사퇴' 거부 우병우, 정치권 비판 목소리 계속 나올 듯
△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서울=포커스뉴스)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선 우 수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연일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야당은 우 수석의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것과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경질을 촉구하고 있고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은 사태 추이를 지켜보면서 거리두기를 하는 모양새다.

◆ '때마침 잘 걸렸다'는 野

친문(親文)계 등으로 분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더민주의 주류는 여전히 친노(親盧)계다. 더민주의 중심축인 친노계는 우병우 민정수석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 후 검찰 수사를 받을 당시 우 수석은 대검 중수1과장으로 노 전 대통령을 직접 조사한 주임검사였다.

2014년 5월 청와대가 우병우 검사를 민정수석에 내정하자 더민주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은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친노계 인사들은 우 검사의 민정수석 내정에 부글부글 끓었고 강하게 불만을 드러냈다. 금태섭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5주기를 열흘 앞두고 나온 이런 소식에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며 "무리한 수사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전직 대통령을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의 주임검사를 청와대 민정비서관에 임명하는 것은 민심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부적절한 인사"라고 비판했다.

박범계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인사는 여전히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생각하지 않고 일방통행적인 통치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호남의 강력한 지지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국민의당 역시 우 수석에게 이를 갈고 있다. 안 전 대표의 사퇴 이후 당의 중심으로 떠오른 호남인사들은 검찰 고위직 지역편중 인사의 배후에 우 수석이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8일 "우병우 민정수석이 권력의 정점에서 인사사정 등 모든 권력을 전횡했다"면서 "정부 권력기관 도처에 널려있는 '우병우 사단'이 먼저 제거돼야 한다고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권력 곳곳에 있는 우병우 사단의 횡포가 이 나라를 망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고도 했다.

이 같은 악연으로 야권은 우 수석에 대한 각종 의혹이 제기되기 전부터 우 수석에 대한 시선이 우호적일 수가 없었다. 따라서 야권은 논란에 휩싸인 우 수석에 대해 '마침 잘 걸렸다'는 분위기다.


◆ 野 "우병우 사퇴하라…박 대통령도 결단할 때"

우 수석을 향한 각종 의혹이 하나 둘씩 제기되자 야권의 우병우 수석에 대한 비판 수위를 연일 높이고 있다.

20일 오전 열린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의는 우 수석에 대한 성토장이었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연일 민정수석과 관련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며 "대통령 치마폭에 숨어있을 문제 아니다. 즉각 사퇴하고 제대로 수사에 응하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우 원내대표는 이어 "찌라시 수준의 보도라고 말하며 빠져나갈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실제로 검찰 지휘 주체인 민정수석을 과연 공정하게 수사할 수 있겠나"며 "설사 민정수석의 해명이 사실이라해도 그 자리에서 물러나 진실을 밝히는 것이 합당한 태도"라고 했다.

또한 "민정수석을 보호하려다 정권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고 말했다.

비대위원인 이종걸 의원도 "우 수석이 박근혜 정부에서 활동해온 과정과 누렸던 권력남용이 총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숨어있는 인사 실패도 간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비대위원인 이춘석 의원 역시 "민정수석은 검찰 인사권에 막강한 권한 행사를 할 수 있는 자리"라며 "어느 검사가 간이 크다 해도 (민정수석) 수사를 할 수 있겠나? 이제는 대통령이 결단할 때"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우 수석에 대한 언론보도를 인용하며 "우 수석을 둘러싼 각종 의혹들이 일파만파 퍼지고 있다"며 "상황이 이런데도 청와대는 이번 의혹이 정치공세와 국정 흔들기라고 주장하시겠느냐"고 반문했다.

국민의당 역시 더민주와 경쟁이라도 벌이듯 우 수석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대국민사과를 했는데 우 수석이 버티고 있다는건 우 수석이 장관·총장 위에 있는 권력 금수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권력 금수저'인 우병우 뇌관을 시급히 제거하고 전면개각을 단행해야 레임덕 폭탄을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또 "우 수석은 진경준 등 검사장 임명권자다. 대통령을 잘못 보필한 책임만으로도 이미 해임 대상"이라며 "진 검사장의 혐의가 110일까지 세상에 알려졌지만 아무런 감찰, 수사도 하지 않은 것은 청와대와 우 수석에 큰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청와대는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해임 요구에 '정치공세', '국정흔들기'라 반박하지만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반박했다.

박 위원장은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만나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등 검찰개혁에 대해 원칙적으로 합의했고 추후 국회에서 검찰개혁을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우병우와 거리두는 與…비박계 중심 "사퇴" 주장 본격화

여권 역시 야권의 공세를 방어하기보다는 한 발 떨어져 관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우병우 민정수석 의혹과 관련, 청와대와 법무부 장관에게 신속한 진상규명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야권이 청와대와 정부내 주요인사의 거취 표명을 요구할 경우 여권은 '정치공세'로 규정하면서 방어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우 수석 문제의 경우 되레 여권에선 청와대와 법무부에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집권여당 지도부의 이 같은 입장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권 말기마다 불거지는 각종 악재를 함께 뒤집어 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게다가 우 수석은 진경준 검사장 승진 당시 재산 검증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여당이 우 수석을 무조건적으로 감싸기도 어렵다.

뿐만 아니라 여당내 비박계는 우 수석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비박계는 우 수석이 친이계 인사들에 대한 사정작업을 지휘했다고 보고 있다. 박근혜정권 3년차에 접어들면서 강력한 사정한파가 대한민국을 강타했는데 이는 MB정권의 비리를 겨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비박계는 정권의 사정수사를 진두지휘한 인사가 우 수석이라고 보고있다. 따라서 비박계가 우 수석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특히,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박계에선 녹취록 파문이 불거지면서 친박계의 위세가 약화됐다. 친박계가 직접 나서서 '우병우 방어'를 할 수가 없게 만들고 있다.

새누리당 비박계 당권주자인 정병국 의원은 19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우 수석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면서 여권내 우 수석 책임론의 물꼬를 텄다. 그는 "일단은 철저하게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자체에서 하든 간에 사정기관에서 하든 간에 철저해야 해야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대통령을 모시는 사람이 이렇게 구설수에 오르고 대통령께 부담이 된다고 하면 빨리 본인이 (거취) 판단을 해야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경질하시기 이전에 본인이 판단하는 문제라고 본다"며 "대통령을 모시는 사람 입장에서 이런 구설수에 오른다는 것 자체가 대통령께 엄청난 부담"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비박계 주자인 김용태 의원 역시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며 "검찰도 실추된 도덕성, 명예회복을 위해 인지수사 차원에서 철저한 수사를 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우 수석은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이런 일 가지고 공직자가 그만둬서는 안된다"며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정치권의 '우병우 때리기'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대한민국 국회의사당. 2015.08.14 박동욱 기자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한 우상호 원내대표가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6.07.14 박동욱 기자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마친 뒤 생각에 잠겨 있다. 2016.07.15 강진형 기자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2015.08.16 김인철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