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항곤 성주군수 "외부 단체 개입 결코 용납못해"
![]() |
△ "사드 배치 반대!" |
(서울=포커스뉴스) "성주는 밀양, 강정과 다르다"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예정지인 경북 성주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성주 지역은 제주 강정마을과 경남 밀양과 달리 외부 시민단체의 개입에 대한 반대 입장을 확실히 하고 있다.
김항곤 성주군수는 14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외부 단체의) 구체적인 움직임은 아직 없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외부 단체가 개입해 '콩 놔라 팥 놔라' 하는 것은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며 "우리 문제는 우리 스스로 해결하겠다. 시위를 희망하는 다른 단체의 힘은 필요 없다"고 못 박았다.
이와 관련, 사드 배치 반대 목소리를 이끌고 있는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이하 평통사)의 한 관계자는 15일 <포커스뉴스>와 통화에서 "성주 주민들과의 연대 여부에 대해 아직 뚜렷한 계획은 세우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단 전국대책회의 차원에서 관련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강정마을의 경우처럼 해당 지역에 직접 내려갈지 여부는 사드한국배치반대전국대책회의 차원에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평통사 등 5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사드한국배치반대전국대책회의’는 1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땅 어디에도 사드가 배치될 적절한 곳은 없다"며 "한미 양국은 사드 배치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평통사는 2011년부터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며 관련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왔다.
평통사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것은 물론 한미일 군사동맹의 전초기지"라며 강정마을 주민들과 함께 강정 지킴이, 강정마을 방문 평화비행기·평화버스 함께 타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지난 2012년 4월에는 평통사 상임대표인 문규현 신부가 강정포구 방파제에서 미사를 진행하던 중 해양경찰서 직원과 실랑이를 벌이다 테트라포드(삼각형 콘크리트구조물) 아래로 떨어져 중상을 입기도 했다.
경남 밀양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도 외부 단체와 지역주민의 연대가 이뤄졌다.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은 녹색당과 환경운동연합, 민주노총,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반핵단체 등과 적극적으로 연대했다.
2013년 10월에는 이들 단체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모인 수백 명이 밀양으로 집결하는 한편, 송전탑 공사현장에선 외부 환경단체 활동가들이 주민들과 함께 농성에 들어가기도 했다.
이에 당시 엄용수 밀양시장은 시민호소문을 통해 "재야 정치권, 반핵 환경단체, 노동단체 등 외부단체가 반대 주민의 농성에 합류하면서 순수한 뜻의 지원이란 의미는 퇴색하고 이념투쟁의 장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송전탑 문제는 지역민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며 외부 시민단체 개입을 적극 반대한 바 있다.국방부가 사드의 한국 배치를 결정한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사드 한국 배치를 규탄하는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관계자들의 시위가 열리고 있다. 2016.07.08 성동훈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