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전력·2단계 가스, 열에너지 관련 데이터 개방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공기업들에게 그동안 독점해 온 에너지 데이터를 공개토록 하고, 민간 에너지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 앞장선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서 '제2차 에너지신산업 협의회'를 열고, 에너지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방안 등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규제개혁 종합대책'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정부는 2단계 과정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한전·발전사·전력거래소 등의 '전력' 데이터를 개방해 에너지 정보를 활용하는 △에너지 효율관리 △에너지 컨설팅 △스마트미터링 △에너지신산업을 활성화 시킬 계획이다. 또 올 9월 중 에너지 데이터 개방의 구심점이 될 '전력 빅데이터 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이후 2단계 작업으로 2017년부터 '가스, 열에너지'로 산업 대상영역을 확대한다. 여기에 오는 2022년까지 총 5000억 원을 투자해 1600만호에 실시간 계량·과금이 가능한 가스 원격검침(AMI)을 보급한다. 축적되는 데이터로 도시가스 소비패턴 분석, 사용량점검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 2018년까지 전국 단위 열지도(heat map)를 작성·공개하고 ’국가 열지도 센터‘를 구축하는 등 열 에너지 데이터를 활용한 민간의 다양한 사업기회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회의에 참석한 중소기업 대표들은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 보안기술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데이터 공유가 수월하도록 △오픈소스 방식 구축 △데이터 취합·제공할 전담기관 구축 등을 제안했다.
우 차관은 "협의회에서 제시한 각계의 의견을 바탕으로 향후 "너지 빅데이터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며 "에너지신산업 규제완화와 성과확산에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