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jpg |
(서울=포커스뉴스) 지난 3년간 판매된 모바일 상품권 중 미환급 금액은 119억원에 달하지만, 이동통신사들의 환급 대책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신경민(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통신사 모바일 상품권 및 통신비·유료방송 미환급 현황을 분석한 결과, 통신사들의 미환급금 환급 노력이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스마트폰 도입 이후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 급성장해 2013년부터 올해 5월까지 4100억원 가량의 모바일 상품권이 판매됐다. 같은 기간 동안 기간만료 된 모바일 상품권은 187억원이었으며, 미환급 금액은 119억원에 달했다.
통신비·유료방송 미환급의 경우 2013년 기준 127만건으로 89억원 규모의 미환급 금액이 누적되어 있어 국회의 몇 차례 지적과 대안 마련 요구가 있었다. 하지만 올해 4월 기준 103만건, 80억원의 미환급 금액이 여전히 누적돼 있는 상황이다.
신 의원은 “통신사들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으면서, 소비자 후생에 관해서는 매우 태만하다”며 “미래부와 통신사는 적극적인 환급시스템 도입을 통해 환급금이 소비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모바일 상품권과 통신 및 유료방송 미환급액 조회와 신청은http://www.smartchoice.or.kr/smc/에서 가능하다”고 전했다.모바일 상품권 미환급 현황.<표제공=신경민 의원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