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팽팽' '여긴 안돼'… 사드 배치, 분열의 대한민국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7-11 16:44:54
  • -
  • +
  • 인쇄
유력 후보지들 "우리 지역은 안돼"

'영남 제3지역' 이야기도 솔솔

보수 vs 진보 이념 갈등 양상
△ 2016071100151832220_1.jpg

(서울=포커스뉴스) 지난 8일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확정한 가운데 유력 후보지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 보수와 진보 간 찬반대립도 격화하고 있다.

현재 사드 배치 후보지로 언급되는 지역은 경기 평택, 경북 칠곡(왜관), 전북 군산, 충북 음성 등이다. 이들 지역에선 결의대회 등을 통해 사드 배치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지만 그 속내는 조금씩 다르다.

이밖에도 기존에 알려진 주한미군 기지가 아닌 전·현 지대공미사일 기지 기준으로 이른바 '영남 제3지역'인 경북 성주·예천·포항, 경남 양산 등도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 언급되는 후보지마다 "우리 지역은 안돼"

우선 가장 격렬하게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곳은 경북 칠곡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가 강한 곳이어서 '배신감'이 크다는 입장이다.

김윤오 사드 칠곡배치 반대 범군민 대책위원장은 11일 <포커스뉴스>와 통화에서 "딸 같은 박근혜 대통령이 우리에게 어떻게 이럴 수 있나.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있다"며 서운함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밀양 공항 실패가 여론에 미친 영향도 컸다"며 "근처 지자체 시민단체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해 (사드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 자체에 대해선 찬성한다"면서도 "님비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칠곡이 6·25 전쟁 때부터 국방에 앞장섰던 지역이라고 사드 배치에 대한 주민 불만이 적을 거라는 말은 이해할 수 없다"고 답답해했다.

앞서 9일 칠곡 대책위는 왜관역 광장에서 관내 70여개 단체 등 3천500여명이 주민이 참여한 범군민 궐기대회를 열고 백선기 칠곡군수와 조기석 군의회의장이 사드배치에 반대하는 삭발식을 진행한 바 있다.

충북 음성 역시 11일 오후 3천명의 주민이 모이는 결의대회를 열며 본격적으로 사드 배치 반대 행동에 들어갔다.

이화영 사드반대 음성대책위 집행위원장은 사드 배치 반대의 가장 큰 이유로 '지역 경제'를 꼽았다.

이 위원장은 <포커스뉴스>와 통화에서 "사드배치가 예상되는 지역 인근에 다섯 개 산업단지 조성중이거나 운영중"이라며 "600개 기업체와 2만3000명 사람들이 그 주변에 살고 있다. 사드가 들어오면 생존권 위협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사드 반대를) 지역 이기주의라 생각을 하는데 많은 시간과 돈을 들여서 농산물 브랜드를 만들었다. 사드가 있는 지역에 농산물을 누가 선택을 하겠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아이들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안돼 '탈음성'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인구가 빠져나가면 상권이 붕괴되고 지역경제도 말이 아니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사드 배치 지역으로 거론되는 전북 군산도 반대목소리가 크다. 다만 사드의 한반도 배치 자체를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구중서 사드배치반대 전북대책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은 11일 "보통 반대와 찬성 의견이 있지만, 전북은 대체적으로 반대 의견이 높다"며 지역 분위기를 전했다.

구 위원장은 "군산에서 예전 여론 조사를 했을 때도 75% 정도가 반대했다"며 "현재 군산을 중심으로 사드 반대 현수막이 약 200개 정도 걸렸다"고 말했다.

구 위원장은 "향후 시나 도, 국회의원 등이 함께 만나는 자리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도"사드 자체를 반대하기 때문에 만일 사드 배치가 다른 지역으로 결정되면 그 지역과 연대하는 틀을 마련하는 운동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기존 후보지 아닌 영남 제3지역 배치?

이른바 '영남 제3지역'에 따라 기존에 알려진 곳이 아닌 다른 지역에 사드가 배치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과거 또는 현재 공군의 지대공미사일 기지가 있는 경북 성주·포항·예천과 경남 양산 등이 유력 사드 배치 후보지로 11일 알려졌다.

이에 대해 박재우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포커스뉴스>와 통화에서 "사드배치 부지로 언급되고 있는 천성산은 생태복원 중인 지역"이라며 "자연 파괴적인 사드 배치를 절대 인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외 성주와 예천, 포항 지역 시민단체 등은 뚜렷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채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 보수 "사드 배치 환영" vs 진보 "철회"

사드 배치는 보수와 진보가 이념적으로 충돌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8일 사드배치 확정 발표 이후 양 진영의 목소리는 '환영'과 '철회'로 나뉘어 점점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11일 오전 광화문광장을 사이에 두고 보수와 진보 시민단체들을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사드 찬성과 반대 목소리를 냈다.

진보성향 5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사드한국배치 반대 전국대책회의(준)'는 이날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반도 내 사드 배치 결정 철회를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한반도 정세를 파국으로 이끌 사드 한국 배치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며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국민과 예정 지역 주민들의 의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한미당국의 졸속적인 배치 결정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사드 배치 지역 주민들은 전자파와 소음, 지역 농산물 기피,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생존권과 재산권 피해를 볼 것"이라며 "이 땅에 사드가 배치될 적절한 곳은 없다. 칠곡, 군산, 음성 등 어느 지역도 사드를 수용할 수 없다"며 사드 배치 결정 철회를 거듭 촉구했다.

반면 종북좌익척결단과 자유대한포럼 등 보수시민단체 회원들 30여명은 같은날 오전 11시 30분 서울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소방어수단인 사드 배치를 추진하는 박근혜정부의 결단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호국적 결단을 내린 박근혜정부에 우리 국민은 감사와 지지를 보낸다"며 "북괴의 핵탄두미사일 위협에 대처할 정부의 방어체계 구축을 생존권 차원에서 누구도 방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진영에 대해선 "대한민국 안보와 한국인의 안전을 해치는 적"이라며 "사드배치 반대는 우리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적대적 행위"라고 비판했다.백선기 칠곡군수(왼쪽)와 조기석 군의회의장이 9일 왜관역 광장에서 사드배치를 반대하며 삭발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칠곡군> 2016.07.09 김재욱 기자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관계자 및 사드 한국 배치를 반대하는 시민들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 대사관 앞에서 사드 한국 배치 결정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16.07.11 김흥구 기자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열린 사드 배치 환영 기자회견에 참석한 보수단체 회원들이 기자회견문을 읽고 있다. 2016.07.11 양지웅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