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硏 "전자부품·자동차, 제2의 조선·철강 될 것"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7-06 14:09:25
  • -
  • +
  • 인쇄
"구조조정 시급" 주장

(서울=포커스뉴스) 전자부품과 자동차도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중국을 진앙지로 하는 공급과잉으로 액정표시장치(LCD), 휴대폰 등은 이미 레드오션이고 반도체, 2차전지 등도 철강·조선과 비슷한 상황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자동차도 수출 비중이 높아 수요가 정체되는 순간 불황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됐다.

6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16년 하반기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전자제품과 자동차산업에 선제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현재 정부 주도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조선과 향후 구조조정 대상으로 지목돼 있는 철강 등의 몰락은 이미 수년전부터 예견된 것"이라며 "글로벌 수출 포트폴리오와 한국의 수출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조선, 철강 등 일부 산업의 경우 한국의 포트폴리오 비중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경기 침체 시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조선의 경우 글로벌 포트폴리오는 3~4% 수준인데 한국은 7~12%를 유지해 왔다. 철강 역시 지난 25년 동안 글로벌 포트폴리오에 비해 국내 수출 비중이 항상 2~3배 높았기 때문에 공급과잉이 발생하면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같은 논리로 연구소는 전자부품과 자동차가 제2의 조선, 철강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조선과 철강 외에 포트폴리오 갭이 큰 산업은 전자부품과 자동차인데 현재는 성장성이 높아 심각한 위기를 느끼지 못하고 있지만 시장이 둔화되는 순간 급격한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부품의 경우 일부 섹터는 이미 장기불황의 터널에 진입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

이 연구위원은 "중국을 진앙지로 하는 공급과잉으로 인해 LCD, 발광다이오드(LED), 휴대폰 등은 이미 레드오션으로 변했고 이차전지,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도 몇 년 안에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며 자동차에 대해서도 "아직 공급과잉 이슈가 심각하지는 않지만 수요가 정체되는 순간 불황이 시작될 것이고 포트폴리오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한국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 자명하다"고 전했다.

연구소는 산업별 경기 사이클에 따른 불황업종도 선정했다. 지난해 말 이미 불황업종으로 선정된 조선, 해운, 철강, 비철금속, 섬유, 일반기계 외에 디스플레이가 추가됐고 의류는 제외됐다. 경기의 정점을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는 여전히 안정업종으로 분류됐고, 음식료가 새롭게 안정업종에 포함됐다.ⓒ게티이미지/이매진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