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라이프텍 재킷으로 조난자 위치와 정보 전달
(서울=포커스뉴스) KT가 해상에서의 재해재난에 대비하고 조난 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LTE 커버리지 확대 기술 등 차별화된 해상안전 솔루션을 공개했다. KT는 5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해양수산부, 코오롱, 노키아 등 정부기관 및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현재 해상에서 중계기 없이 통신이 되는 LTE 커버리지는 육지로부터 약 50㎞내외다. 그 이상의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박용 중계기가 필요하며, 이를 활용하더라도 100㎞ 이상의 해상은 LTE 서비스가 불가능했다.
KT는 ‘LTE 타임 어드밴스(Time Advance)’ 기술 기반의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OTHAD: Over The Horizon Antenna Distribution)’을 개발해, 기존 50㎞ 내외의 해상 LTE 커버리지를 중계기 없이 최대 200㎞까지 커버리지를 확대하는데 성공했다. LTE 타임 어드밴스는 신호처리 및 수신방법을 개선한 기술로, 거리에 따라 단말과 기지국과의 동기화 시점을 자동으로 조정해 원거리에서도 단말과 기지국을 연결한다.
KT는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을 제주도 한라산에 설치, 서남방으로 185㎞ 떨어진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LTE 기반의 영상통화에 성공했다. 태백산에도 이를 설치해 강원도 해안에서부터 울릉도까지 LTE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그 동안 선박용 중계기 없이는 LTE 서비스가 불가능 했던 주요 항로와 200㎞ 내 어업장에도 자유로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상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해류로 인해 조난자의 위치파악이 어렵고, 특히 야간에는 탐조등으로도 식별거리가 수백미터로 짧아 구조율이 낮고 실종자 수색에 난항을 겪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KT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이하 코오롱)은 재해재난 혹은 커버리지 제한으로 통신이 힘든 상황에서도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율을 높일 수 있는 ‘IoT 라이프텍재킷 마린(이하 IoT 재킷)’을 공동 개발했다.
IoT 재킷은 일반 아웃도어 점퍼처럼 착용 가능하며, 조난자가 물에 빠지는 긴급상황 발생 시 수압감지센서가 작동해 자동으로 구명튜브가 팽창된다. IoT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조난자의 위치정보와 심박수 등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재난 상황실로 전달한다. KT의 플랫폼인 ‘IoT메이커스(Makers)’와 연동돼 전달받은 기본 정보를 및 배터리 잔량, 경과 시간, 표류속도(조난자 이동 속도) 등 상세한 조난상황을 계산해 시각화한다. 조난자 이름·나이·성별혈액형 등 기본 ID 정보가 통합관리(Data Base 처리)도 가능하다.
해류로 인해 조난자가 이동하거나 암초 등으로 어업지도선이 도달하기 힘든 지역에는 드론 LTE가 출동해 LTE 커버리지를 유동적으로 확장해 IoT 재킷으로부터 정보를 수신, 구명정이 긴급 출동해 조난자 구조가 가능하다.
KT는 IoT 재킷과 같이 국민안전을 강화하는 IoT 서비스 확산을 위해 지난 3월 LTE-M 전국망에 이어 ‘NB-IoT(협대역 사물 인터넷)’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하반기에는 NB-IoT 시범망을 구축하고 필드테스트를 완료하여 ‘17년 상반기까지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해양수산부, 코오롱, 노키아 등 여러 기관의 협업으로 재난안전통신 솔루션 개발에 이어 해상 안전 통신 솔루션까지 범위를 확대하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KT는 국민기업으로써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