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상선_컨테이너선.jpg |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상선이 4일 아시아~중동항로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중동향 서비스에서 시장점유율 1위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현대상선은 그동안 KMS(Korea Middle East Service) 노선 1개만 운영해 왔으나, 올해 1월부터 이란 경제제재가 해제되면서 한국발 중동향 서비스(KME)와 중국발 중동향 서비스(CME)로 노선을 이원화해 운항하기로 했다.
이로써 현대상선은 아시아~중동항로에서 기존 8%의 시장점유율을 13%로 확대하면서 시장점유율 1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기존 KMS를 개편한 KME(Korea Middle East Express)서비스에는 8600TEU급(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세는 단위) 컨테이너선 3척과 6800TEU급 컨테이너선 3척 등 총 6척을 투입한다. 특히 기존 서비스보다 운항 일수가 약 2일 정도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노선은 광양~부산~닝보~얀티안(중국)~홍콩~싱가폴~포트켈랑(말레이시아)~제벨알리(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아랍에미리트)~반다르아바스(이란)~카라치(파키스탄)~싱가폴~홍콩이다. 서비스 개시일은 오는 7일이다.
추가로 개설되는 CME(China Middle East Express) 신규 항로는 46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을 투입한다. 특히 상해~담맘까지의 운항 소요 일수는 약 18일로 타선사 대비 약 2~3일 단축된다.
서비스 노선은 청도~상해~샤먼(중국)~카오슝(대만)~셔코우(중국)~제벨알리(아랍에미리트)~담맘(사우디아라비아)~반다르아바스(이란)~싱가폴~홍콩이다. 오는 18일부터 운항한다.
이 노선에는 청도·샤먼·셔코우·담맘을 신규로 기항해 영업망을 넓혔다. 또 중동의 주요항인 반다르아바스와 제벨알리는 기항 횟수를 기존 주1회에서 주2회로 늘렸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이번 KME 개편과 CME 신규 항로 개설 등을 통해 중동향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중동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넓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상선은 기존 아시아~북유럽(LP6)에 투입했던 1만3100TEU급 컨테이너선 7척을 다음달 8월까지 아시아~지중해(EUM) 노선에 순차적으로 투입해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현대상선 컨테이너선 <사진제공=현대상선>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