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스마트공장 사업 확산
지원받은 기업, 생산성과 품질 향상 등 성과 창출하기도
(서울=포커스뉴스) 삼성전자가 ‘스마트공장’ 사업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각 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스마트공장 사업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 아래 공장운영시스템, 제조자동화, 공정시뮬레이션, 초정밀금형 분야에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경북 지역의 12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사업을 지원한 경험으로 올해 △경기, 인천 등에서 27개사 △전라, 충청, 대전 등 11개사 △경북, 경남 지역에서 67개사 등 현재까지 총 225개사에 관련 사업을 지원했다. 올 상반기에는 105개의 기업 스마트 공장 사업을 완료했다.
이 지원 사업으로 해당 중소 기업들이 실적 향상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경기 남양주에 위치한 자동차용 전구 필라멘트 제조회사 새한텅스텐은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스마트공장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고질적인 낙하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작은 부품인 필라멘트는 바닥에 떨어지는 것만으로도 불량품이 되는데, 새한텅스텐은 삼성전자의 지원으로 설비 구조를 개선해 떨어지는 필라멘트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다.
또 스마트공장 지원분야인 MES시스템 구축으로 생산성 60% 향상, 제품반품률 44% 감소, 수주부터 출하까지의 작업시간을 14% 단축했다. 이를 통해 새한텅스텐이 고객사를 유치할 때 큰 도움이 됐다. 삼성의 기술지원으로 시스템을 갖춘 깨끗한 공장으로 변모한 점이 GE 신규협력사 심사 시 우수한 평가를 받아 납품계약까지 연결돼 기업의 매출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삼성전자 제조전문가 3명과 새한텅스텐의 임직원이 함께 공장환경, 제조물류, 창고관리, 품질관리 등을 개선하는 제조현장 혁신활동도 병행했다.
삼성전자는 2017년까지 전국에 1000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는 목표 아래 지난해 산업통산자원부와 각 150억원씩 총 300억원의 기금을 조성했고, ‘창조경제지원센터’도 신설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