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0705_lg유플러스,_홈iot_상용화_1주년_스마트_홈_시대_앞당겼다_가로.jpg |
(서울=포커스뉴스) LG유플러스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출시 1년을 맞아, IoT 사업부 조직개편에 나섰다. 이를 통해 올해까지 홈 IoT 서비스를 50여 종으로 대폭 확대하고 총 50만 가구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해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홈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1일 ‘IoT서비스 부문’을 ‘IoT사업 부문’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CEO 직속부서로 편제해 IoT사업 추진에 힘을 실었다. 향후 IoT사업 부문은 홈IoT, 산업 IoT 분야 전반의 상품 기획 및 제휴는 물론, 급속히 늘어나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안정화 업무도 함께 맡게 된다.
LG유플러스의 홈 IoT 서비스(IoT@home)는 지난해 7월 상용화 이후 가파른 가입자 증가세를 이어왔다. 초기 1만 가구 돌파까지는 30일이 걸린 데 반해, 2만 가구 돌파에는 21일, 3만가구 돌파는 19일, 최근에는 2주만에 1만 가구씩 가입자가 늘어나며, 일 평균 1000 가구 이상이 IoT 서비스를 신청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런 증가세를 이어가 올해까지 50만 가구의 가입자를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IoT 스위치, 플러그, 에너지미터, 온도조절기, 열림감지센서, 도어락 등 6종의 신규 서비스로 출발한 IoT 상품은 1년 만에 총 28개 제품으로 4배 이상 늘어났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올해까지 50여 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IoT 보일러, IoT오피스텔, IoT스마트 홈(비디오폰 등)시스템, 전자업체(LG전자,삼성전자), 가구업체, 펫 악세서리 제조기업, 전동커튼 등 전 산업분야로 IoT 서비스 제휴를 확대해 왔다. 최근에는 생활가전 전문기업 쿠첸과 함께 원격 제어와 모드 자동실행이 가능한 지능형 IoT 밥솥을 출시하고, 국내 소방설비 전문 업체인 파라텍과 LG유플러스의 애플리케이션에 연동된 주방용 IoT 소화장치를 선보였다.
LG유플러스의 홈IoT 서비스는 ‘불 꺼’, ‘가스 잠 궈’, ‘문 열어’ 등 총 3000여 단어를 인식하는 음성명령이 가능해 실생활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IFTTT(조건부 제어) 기능에 특화되어 있어,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모든 IoT 디바이스 간 연결을 통해 최적화된 제어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향후에는 연동제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드 추천 기능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청소하자”라고 말하면 환풍기,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커튼이 동시에 작동한다. 거주자의 이용 정보가 쌓이면 빅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출∙퇴근, 주말, 여행 시 모드를 추천한다.
안성준 LG유플러스 IoT사업부문 전무는 “홈 IoT 서비스는 고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의미 있는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는 통로”라며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LG유플러스의 인프라와 서비스가 다양한 영역에서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LG유플러스가 홈 IoT 상용화 1주년을 맞았다.<사진제공=LG유플러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