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유흥가로 전락한 대학가를 일자리 중심의 공간으로 재탄생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유흥가로 돼버린 시내 대학가를 일자리 중심의 창조 거리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7일 서울시청에서 캠퍼스타운 조성계획 기자설명회를 개최,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도시재생모델을 제시하고, 시내 52개 대학가를 중심으로 상생 발전 유도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 서울시 가용지의 3.7%(11.45㎢)를 차지하는 대학 일대는 65만명이 재학 중이며, 연간 졸업생수가 12만명에 이른다.
시는 대학가 일대가 서울 안의 또 다른 작은 복합도시지만, 주변 지역과의 장벽이 높아지고 단절도 뚜렷해져 새로운 재생모델을 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대학들의 동참 의지도 높다. 서울시가 시내 52개 전 대학을 직접 방문해 의견을 수렴한 결과 88%가 캠퍼스타운 조성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46개 대학에서 거버넌스를 위한 전문가 'MP(Master Planner: 총괄계획) 교수'를 직접 추천했다.
시는 협력의지가 매우 높은 고려대를 중심으로 한 '안암동 창업문화 캠퍼스타운'을 우선사업 대상지로 선정해 올 하반기 세부 실행계획 수립에 들어가고, 내년부터 10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을 만들고 50개 단위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계획 목표는 △창업육성이 핵심이 되고, △주거안정화 △문화특성화 △상권활성화 △지역협력이 함께 이뤄지는 '1+4'로 구성된다. 시는 오는 2025년까지 약 152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1+4개 핵심목표를 기반으로 실제 지원은 각 대학과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춰 추진된다. 세부적으로는 △1+4 목표를 종합 적용하는 '지역창조형' △단위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형'으로 구분된다.
시는 캠퍼스타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대학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서울시장과 대학 총장간 의견교환의 장인 '대학-서울시 파트너쉽'을 올 하반기를 시작으로 연 2회 개최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은 오늘날 서울시가 고민하는 청년실업과 청년일자리 문제, 지역재생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기숙사 문제와 역세권개발 문제 등이 모두 얽혀 있는 융복합적 도시재생사업"이라며 "최선을 다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서울시청에서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김충범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