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표1.png |
(서울=포커스뉴스)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9곳이 일·가정 양립과 생산성 향상 등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300개사(도입 150개사, 검토중 15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실태'를 조사한 결과,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의 92.8%가 제도시행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27일 밝혔다.
근로자 측면에서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96.7%, '직무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응답은 96.0%에 달했다. 기업 측면에서도 '생산성 향상'(92.0%), '이직률 감소'(92.0%), '우수인재 확보'(87.3%) 등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올해 중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전환형 시간선택제'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기간 근로시간을 줄여 근무하고, 이후 정상 근무로 전환하는 제도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의 93.8%는 '생산성 향상, 근로자만족도 제고, 업무집중도 증대, 기업이미지 제고 등의 효과를 거뒀다'고 답했다.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기업은 6.2%에 불과했다.
다만 유연근무제 도입의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의 유연근무제 활용률은 22.0%에 그쳐 선진국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시차출퇴근제의 경우 우리나라의 도입률은 12.7%로 미국(81.0%), 유럽(66.0%) 보다 낮았다. 전일제(1일 8시간) 근로보다 근로시간만 짧게 근무하는 시간제의 경우에도 유럽기업은 69.0%가 활용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11.3%에 불과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재택근무 도입률도 각각 9.2%와 3.0%에 그쳤다.
대한상의는 "우리보다 먼저 저출산·고령화를 경험한 선진국의 경우 일·가정 양립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유연근무제 활용이 활발하다"면서 "과거의 일하는 방식에 머물기 보다는 유연근무제 도입 등을 통해 달라진 시대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도표제공=대한상공회의소><도표제공=대한상공회의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