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 임명권 가진 산업은행 개입…"향후 기업가치 제고 어려워질 수도"
(서울=포커스뉴스) 대우건설의 신임 사장 인선이 늦어지는 가운데 이를 둘러싼 각종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너 없는 대우건설이 정치권 등 외부 압력에 휘둘려, 낙하산 인사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사장추천위원회(이하 사추위)는 박영식 현 사장과 이훈복 전무 등 2명의 후보에 대해 향후 경영계획을 포함한 개별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했지만, 차기 사장 인선과 관련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사추위는 대우건설의 대주주인 산업은행 출신 인사 2명과 대우건설 사외이사 3명 등 모두 5명으로 구성돼있다.
사추위는 후보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에 대해 "프리젠테이션의 내용이 방대해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해하기 힘든 답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박영식 현 사장의 임기는 오는 7월14일 만료된다. 적어도 이달 말까지는 후보의 윤곽이 명확하게 잡혀야 7월15일부터 차기 사장이 추대되는데 아무 문제가 없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대우건설의 한 관계자는 "당장 박영식 현 사장의 임기가 3주 정도밖에 남지 않았는데, 인선에 대해 아무 것도 결정 난 사항이 없다"며 "적어도 대표이사 선임 문제는 주주총회에서 다뤄져야 하고, 주총 2주 전에 소집절차가 이뤄져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물리적인 시간이 너무도 부족하다. 이달 10일 프리젠테이션 직후 후보 윤곽이 잡혔다면 정상적으로 인선이 진행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 대우건설지부(이하 대우건설 노조)도 이 같은 사장 인선 지연 문제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대주주이자 실질적 임명권을 가진 산업은행 인사가 사추위에 2명이나 포진해 있어 사장 선임이 정치권 외압에서 자유롭지 않은 점, 사추위가 후보자 등록 및 향후 일정을 일절 비공개로 부치는 점 등에 대해 노조는 의문을 표하고 있다.
대우건설 노조 관계자는 "한 기업의 사장 인선을 위해 모인 기구가 프리젠테이션 내용이 방대해 사장 선임과 관련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사추위가 정치권 눈치만 보며 낙하산 인사라도 찍어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닌 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대우건설은 산업은행과 같은 공기업이 아닌 경제논리에 입각해 무한경쟁을 해야 하는 민간기업"이라며 "낙하산 인사를 사장으로 내정한다면, 대우건설은 기업가치 제고는 고사하고 산업은행과 정치권의 책임전가, 단기성과 연연 등 관료적 지배체계에 따른 폐해를 고스란히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조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공정하고 투명한 공모 절차를 통해 사장 임명에 관여해야 할 것"이라며 "임직원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고, 대우건설의 비전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사장이 임명되는 것이 옳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