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등 ‘액체생검’으로 암환자 체내의 암유전자 변이 확인
![]() |
△ 대한항암요법연구회_기자간담회_손주혁교수.jpg |
(서울=포커스뉴스) 그동안 암 진단과 암치료제 선정을 위해 조직생검을 실시했다면, 앞으로는 혈액 등 액체생검으로 암유전자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강진형)는 23일 기자간담회를 개최, 최근 미국 사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이하 ASCO)에서 발표된 암 치료 관련 주요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강진형 회장(가톨릭대 의대 종양내과)는 “암의 완치는 여전히 인류의 큰 숙제로 남아 있다”고 밝히고 “이번 기자간담회는 전세계의 암 관련 최신 임상을 논의하는 ASCO의 주요 임상결과 리뷰를 통해, 국내외 항암 치료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국민들에게 암 치료 관련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며 의의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ASCO에서 주목을 받았고 향후 국내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주제를 선별, ‘액체 생검을 이용한 맞춤 항암치료’과 ‘암 완치를 향한 희망, 면역항암제 병용 요법’ 등 크게 두 가지 발표가 진행됐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홍보위원장 손주혁 교수(연세대 의대 종양내과)는 ‘액체생검을 이용한 맞춤 항암치료 시대’를 주제로 두 번째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손 교수에 따르면 암의 발생은 유전자 변화와 관련돼 있는데, 동일한 암을 진단받은 암환자들도 서로 다른 유전자 변화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암 치료는 환자의 몸에 있는 암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정확히 진단해 이를 바탕으로 치료법이나 약제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고,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
즉, 환자의 특성에 따른 암맞춤치료(personalized cancer therapy)를 하기 위해 조직생검이 진단시뿐만 아니라 치료 중이나 재발시에도 수시로 필요하게 됐다는 것이다.
손주혁 교수는 “조직생검은 바늘, 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인체에 침습적으로 시행돼 환자에게 불안감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어, 반복적으로 조직생검이 필요한 경우 환자나 의사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이라며 “이런 조직생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액체생검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돼 왔다”고 설명했다.
액체생검은 천자나 절개 등의 침습적인 시술 없이 혈액이나 복수 등 체액에 있는 암의 유전자조각을 이용해 검사하는 방법이다.
지난 6월에는 미국 FDA가 폐암의 표적치료제인 엘로티닙 치료를 결정할 때 필요한 EGFR 유전자 변이를 혈액으로 검사할 수 있는 ‘cobas EGFR Mutation Test v2’를 승인하기도 했다.
이는 폐암 조직에서 혈액으로 방출된 암관련유전자(DNA)를 환자의 혈액에서 검출하는 액체생검 방법 중의 하나다.
또한 이번 ASCO에서 액체생검과 관련한 몇 가지 중요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기존 폐암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특정유전자(T790M)가 있는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로실레티닙의 임상연구에서 액체생검(혈액)이 조직생검을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결과가 보고됐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에게서 로실레티닙 치료 전에 폐암조직, 혈액, 소변 샘플을 채취해 특정유전자(T790M)의 여부에 대해 검사를 시행한 결과, 액체생검과 조직생검 간에 80% 정도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치료효과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대(직)장암에서 시행된 연구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 38명의 대(직)장암 환자의 혈액에서 ‘BEAMing’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RAS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고 조직에서 시행한 RAS 유전자 검사와 일치도를 비교 분석했을 때 약 90%의 일치율을 보였다는 연구결과 보고도 있었다
이밖에도 폐암, 유방암, 대(직)장암 등으로 진단된 1만519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직생검과 액체생검 간에 유전자 변화를 비교연구한 결과, 386명에서 혈액과 조직 간에 유전자 변이 결과는 약 87%의 일치했고, 혈액생검과 조직생검을 시행한 시간차가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98%까지 일치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항암요법연구회 홍보위원장 손주혁 교수(연세대 의대 종양내과)는 ‘액체생검을 이용한 맞춤 항암치료 시대’를 주제로 두 번째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사진출처=대한항암요법연구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