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늘만큼은 한 마음 한 뜻으로 |
(서울=포커스뉴스)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나선 가운데 서울지역 학교 100곳 이상에서 급식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서울지역 학교 110곳(22일 기준)에서 급식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학교 중 50개교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도시락을 지참할 수 있도록 가정통신문을 보냈고 46개교는 빵과 우유 등 대체 급식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나머지 14개교는 단축수업(체험학습 및 체육행사 포함)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같은 급식대란은 학교비정규직노조가 서울시교육청과 가진 임금·단체 협약 체결을 위한 교섭 중 서로 합의점을 찾지 못해 노조 측이 파업을 결의하면서 발생하게 됐다.
학교비정규직노조는 지난 22일 "전국 시·도교육청과 지난해 하반기부터 임금·단체 협약 체결을 위한 교섭을 가졌다"면서 "그러나 서울시교육청 등 일부 교육청과 정기상여금 도입, 급식비 차별 해소 등 노조의 주요 요구안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해 23~24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선 학교에서 정규직 공무원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도 임금이 정규직의 59%에 불과하고 정규직에 적용되는 기본급 3%인상에서 제외되는 등 처우개선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또 방학 중 임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정기상여금 100만원 지급과 복리후생 개선 등도 주장하고 있다.
이번 학교비정규직 총파업에는 서울을 비롯해 충남, 제주지역에서 돌봄전담사, 학교급식 조리종사원 등 학교비정규직 근로자 40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9일에는 경기와 전북지역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진행해 일부 학교에서 급식 운영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급식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이는 학교 수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며 "당장 교육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도시락을 지침하도록 하거나 빵과 우유로 급식을 대체한다고 학생과 학부모에게 안내했다"고 말했다.지난해 11월 14일 오후 서울 시청 서울광장에서 열린 민중총궐기대회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소속 참석자들이 비정규직 철폐와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하고 있다. 2015.11.14 성동훈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