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자회견하는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 |
(서울=포커스뉴스) 정부의 '맞춤형 보육' 정책에 반발해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가 집단휴원에 들어가기로 한 첫날인 23일 보육대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갔다.
이번 집단 휴원으로 보육대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대부분의 어린이집이 휴원을 잠정 보류하기로 하는 등 정상 개원을 하고 있었다.
앞서 1만4000여 곳의 어린이집이 회원사로 소속돼 있는 단체인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은 이날부터 일부 보육 교사를 출근시키지 않거나 단축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인천 지역의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인천지역 및 집주변 어린이집 휴원을 잠정보류해 기존에 휴원 관련 공문을 발송한 어린이집 상당수가 어제 취소 관련 공문을 보냈다"며 "일부 어린이집은 취소한다는 공문을 보내지는 않았지만 부모들 문의 결과 아이를 보내도 괜찮다는 답변을 했다"고 전했다.
서울 곳곳 어린이집의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어린이집 대부분이 운영 중이었으며, 성북구의 상황도 같았다.
성북구에 위치한 S어린이집 관계자는 "집단 휴원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며 "맞벌이를 하는 학부모들이 많아 휴원하게 되면 부모들이 피해 볼 것이 우려돼 휴원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성북구 인근 B어린이집 관계자는 "학부모들의 편의 때문에 집단 휴원에 동참하지 않기로 했다"며 "아이들을 맡기고 일하러 가야 하는 학부모가 많은데, 당연히 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의 맞춤형 보육에는 당연히 반대한다. 어린이집과 학부모 모두에게 좋은 제도가 아니다"며 "마음속으로는 집단 휴업에 동참하고 싶지만 당장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 학부모들과의 정을 생각해서 열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맞춤형 보육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맞춤형 보육 제도란 장시간 어린이집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12시간의 종일반 보육을 지원하고, 적정 시간 어린이집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약 7시간의 맞춤반 보육을 지원하는 제도다.
어린이집 단체는 맞춤반 보육료 지원이 종일반의 80% 수준인 것에 불만을 갖고 있다.
맞춤반이 편성되고 나면 종일반 신청 비율이 낮아져 어린이집 운영난이 심화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번 집단휴원에는 2만6000여 곳의 어린이집이 회원사로 있는 단체인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가 참가하지 않았다.
다만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가 학부모들의 맞춤형 보육 종일반 신청이 끝나는 24일이 지나고도 정부가 이 개선안을 내놓지 않으면 별도로 집단 휴원 투쟁을 하겠다고 밝힌 데 따라 보육대란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서울=포커스뉴스)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장진환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 등 관계자들이 어린이집 생존권 위협하는 맞춤형 보육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5.31 박동욱 기자 (세종=포커스뉴스)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 회원들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서 결의대회를 갖고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 해결을 촉구하며 가두시위를 하고 있다. 2015.12.18 김기태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