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 무는 지배구조
해외법인 42.2%가 중국·홍콩에 몰려 있어
"홍콩 조세협정 체결 NO, 수사 난항 예상"
![]() |
△ 롯데그룹 비자금 의혹... |
(서울=포커스뉴스)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롯데그룹이 해외 계열사 256곳 중 46곳(18%)을 조세 피난처로 의심되는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2만기업연구소 '롯데그룹 해외 계열사 현황 분석'에 따르면 롯데그룹의 해외 계열사 수가 올해 256곳으로 지난해보다 6곳 늘어났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08곳(42.2%)은 중국(홍콩 포함)에 소재한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그룹이 중국을 해외 사업의 중심으로 삼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중국 다음으로는 베트남(23곳), 미국·인도네시아(각 17곳), 말레이시아(16곳), 카자흐스탄(11곳) 순이다.
특히 조세 피난처로 의심되는 지역에 46개의 법인을 두고 있어 이목이 집중된다. 이 중 26개는 홍콩에 배치시켜 놓았고, 홍콩에 이어 싱가포르(9곳), 네덜란드(5곳), 케이만군도(3곳), 룩셈부르크·모리셔스·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등은 각각 1개 법인을 운영 중이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작년 9곳에서 올해는 1곳으로 8곳이나 줄었으며, 네덜란드에는 호텔롯데가 출자한 롯데유럽홀딩스(Lotte Europe Holdings B.V.)가 있다. 네덜란드는 전 세계적으로 법인세 등이 낮아 '절세' 목적 등으로 조세 피난처로 많은 기업들이 선호하는 곳중 하나다.
또한 해외 계열사 71개는 롯데쇼핑에서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룩셈부르크에 소재한 코랄리스(CORALIS S.A)를 포함해 중국(홍콩 포함), 미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에 법인 10곳을 직접 출자했는데, 이중 싱가포르와 홍콩 소재 법인은 다시 다수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홍콩법인은 무려 27개 회사를 중국과 케이만 군도에 세워놓고 운영하고 있으며, 케이만에 세운 법인은 중국 상하이 등에 법인을 두고 있어 꼬리에 꼬리를 무는 복잡한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만기업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우리나라와 홍콩과는 아직 조세협정을 정식 체결하지 않아 국내 검찰 및 국세청에서 계좌 자료 등을 분석하데 어려움이 많다"고 지적하며 "검찰이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지 못하면, 자칫 롯데 측에 면죄부를 주게 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서울=포커스뉴스) 비자금 의혹으로 검찰이 지난 10일 롯데그룹 압수수색을 한 가운데 13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2016.06.13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