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보육' 반대…23~24일 민간 어린이집 집단 휴원 돌입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6-22 11:28:13
  • -
  • +
  • 인쇄
전국 1만여개 민간 어린이집 동참 예정

등원 불가피 아동 위해 당번 보육교사 배치
△ 2016062200095424479_1

(서울=포커스뉴스) 정부의 맞춤형 보육 제도에 반발해 전국 민간 어린이집이 집단 휴원에 돌입할 예정이다.

22일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한민련)에 관계자에 따르면 전국 1만4000여곳의 소속 민간 어린이집 중 1만여곳이 23일부터 이틀동안 진행되는 집단휴업에 돌입한다.

다만 불가피하게 등원해야 하는 아동이 있을 경우 완전히 문을 닫지는 않을 예정이다. 한민련 관계자는 "전면 휴원을 원칙으로 하지만 일부어린이집에는 등원해야 하는 아동들이 있어 당번 보육교사를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민간 어린이집 집단 휴원은 다음달 1일부터 시행 예정인 정부의 맞춤형 보육 제도에 반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보건복지부(복지부)는 지난해 말 만0~2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할 때 부모가 주 15시간 혹은 월 60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거나 장애인·조손가정·3자녀 이상 가구 등 일정한 조건을 갖췄을 때만 종일반(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7시30분까지)에 다닐 수 있도록 제한하고 나머지는 맞춤반(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에만 등록하도록 하는 내용의 '맞춤형 보육 제도'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복지부는 맞춤반에는 종일반 대비 보육료의 80%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어린이집 단체는 "아동을 위해 투입되는 점심·간식비, 보육비, 보육교사 인건비 등은 종일반이나 맞춤반이나 동일한데 맞춤반에 대한 지원이 종일반 대비 20% 줄면 어린이집 운영이 어렵다"며 반발했다.

어린이집 단체 등의 반발이 거세지자 복지부는 제도를 일부 보완해 맞춤반 보육료 지원액을 종일반의 96% 수준으로 높이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하지만 어린이집 단체는 복지부의 '제도 보안 검토'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입장이다.

한민련 관계자는 "보완 검토에 대해서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검토하겠다는 것은 정치적 수사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맞춤형 보육 제도를 전면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3일 오후 한민련과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한가연) 소속 어린이집 보육교사 1만여명은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 500m 구간의 보행로에서 맞춤형 보육 제도의 전면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한민련은 이번 집단 후에도 복지부가 맞춤형 보육 제도를 시행할 경우 다음달 1일부터 4일까지 2차 집단 휴원에 들어갈 방침이다.

가정어린이집 등을 포함해 전국에 있는 어린이집은 총 4만2000여개다.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와 한국어린이집총연합은 이번 집단휴원에는 동참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앞에서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 회원들이 맞춤형 보육 저지 및 평등지원 촉구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2016.06.13 오장환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