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지난 휴대폰에 지원금 대폭 늘어날 것
![]() |
△ 4.최성준_위원장,_이동통신_유통현장_방문_.jpg |
(서울=포커스뉴스) “휴대폰 지금살까, 기다릴까”
정부가 지원금 상한제를 폐지를 검토하면서 소비자들은 같은 고민에 빠졌다. 갤럭시S7, G4, 갤럭시노트5 등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공짜폰’이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다.
15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지원금 상한제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실무차원에서 그 필요성 및 대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며 지원금 상한제를 손볼 수 있음을 시사했다.
현재 33만원인 이통사 지원금을 ‘출고가 이하’로 변경하는 방안이 통과되면 이통사들은 출고가 이하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공시지원금을 책정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밴드, SNS 등 불법적인 방법을 통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때문에 시장에서는 언제 휴대전화를 사야하는지를 두고 망설이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강동구에 사는 신지혜(32)씨는 “스마트폰을 교체하려고 하는데 지원금 상한제가 폐지될 것 같아서 기다려야 하나 고민이다”고 말했다. 종로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하는 진 씨(29)도 “지원금 상한제 폐지에 대해 언제 지원금이 높아지는지 물어보고 돌아가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들은 지원금 상한제가 폐지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까. 지원금 상한제가 폐지돼도 당장에 이통사들이 플래그십 모델에 큰 규모의 지원금을 지급할 것이라는 기대는 하기 힘들다. 지원금 상한이 정해져 있을 때도 이통사들은 이에 훨씬 못 미치는 지원금을 지급했었다. 단통법 이후 출시된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S6, 갤럭시노트5, 갤럭시S7, G4, G5 중 지원금 상한선인 33만원까지 지급한 모델은 G4가 유일하다. 그것도 10만원대 요금제를 사용해야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통사가 특정 신제품에 대해 전략적으로 지원금을 상향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한 이통사가 지원금을 대폭 올려 공시하면 경쟁사들은 지원금을 뒤따라 올릴 수밖에 없다. 한번 공시한 지원금은 최소 7일 이상 유지돼야 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소비자들은 공시지원금 상향 후 일주일 동안 휴대폰 구매를 결정할 시간을 버는 셈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단통법 이전에는 스팟성으로 불법지원금이 뿌려졌다면 상한제 폐지 이후에는 합법적으로 많은 지원금이 지급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한 이통사가 지원금을 뿌리면 다른 회사들도 따라서 올리는 구조라 시장이 과열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출시한 지 1년이 지난 휴대폰을 노리는 것도 방법이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플래그십 모델들을 1년 주기로 선보이고 있다. 상한제 하에서 지원금은 15개월이 지나야 33만원 이상으로 올릴 수 있어 이통사들은 출시시기에 맞는 마케팅을 벌이기 어려웠다. 지원금 상한이 없어지면 이통사들은 새로운 휴대폰이 출시되기 직전, 전작의 재고를 소진하기 위한 지원금 경쟁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 다른 이통사 관계자는 “지원금 상향 주기가 전보다 훨씬 짧아질 것”이라면서 “신제품 출시 전에 이통사들이 대량으로 지원금을 풀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최성준 방통위원장이 강변 테크노마트에서 유통점 직원과 이야기하고 있다.<사진제공=방통위>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