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광나루.jpg |
(서울=포커스뉴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토교통부가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미래부는 자율주행차·드론산업 활성화에 필수적인 주파수를 공급하고, 국토부는 3차원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 시스템을 구축한다.
미래부와 국토부는 9일 드론 시연행사 및 주요 간부들의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광나루 한강시민공원 모형비행장에서 개최한 드론 시연행사는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공동으로 발표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산업 규제개혁 방안’과 ‘드론 및 자율주행차 규제혁신방안’의 후속조치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양부터는 드론 관련 연구개발(R&D) 추진현황 등을 공유하고, 각종 드론 시연 및 미래부-국토부 양 장관의 드론 조종 체험을 진행했다.
이어서 열린 주요 간부들의 정책간담회에서는 현재 양 부처가 협업중인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2020년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비해 안전성 및 보안성 연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주요 기반기술인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과 관련한 국토부의 시범사업에 활용할 통신보안시스템을 미래부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자율주행차·드론산업 활성화에 필수적인 주파수에 대해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현재 국토부가 구축중인 정밀측위 및 정밀지도 등 3차원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를 미래부의 평창ICT 올림픽 계획에 활용하는 등 관련 서비스 발굴을 위해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미래부·국토부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차세대 중형위성과 관련해 국토부에서 추진 중인 ‘국토위성정보 활용센터’ 설립에 미래부는 항공우주연구원의 기술자문 등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스마트도시의 경우, 미래부의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도시 솔루션 사업과 국토부 스마트도시 제반 기반구축사업의 상호 연계를 위해, 서비스 경진대회를 공동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양 부처 사업의 플랫폼을 연동하고, 한국형 스마트도시의 해외진출을 위해서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양 부처가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과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오늘 양 부처가 함께하는 드론 체험행사와 정책간담회가 신산업 육성이라는 정책 목표를 공유하고 협업을 다짐하는 계기가 됐다”면서“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 육성에 양 부처가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미래부와 국토부의 드론시연이 진행된 광나루 비행장.<사진제공=미래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