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의 고향 |
(서울=포커스뉴스) 3일 정부가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서 석탄화력발전소 확대 계획을 재검토하지 않은 점을 두고 환경단체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확대 계획에 대한 재검토 없는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을 강하게 규탄한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석탄화력발전 확대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지 않는 가운데 노후 설비만 표적으로 삼는 대책은 미세먼지 피해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삼천포 1,2호기와 같은 지어진 지 30년 이상 된 노후 발전소 일부를 축소한다 하더라도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소를 새로 짓는다면 미세먼지 배출량은 크게 치솟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노후 발전소를 폐지하겠다는 계획은 과거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있던 방안"이라며 "20기에 달하는 신규 석탄화력발전 계획은 재검토하지도 않은 채 미세먼지를 잡겠다고 하는 것은 정부의 의지가 박약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팀장은 "미세먼지와 기후변화 위기로 석탄화력발전은 더 이상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며 "신규 석탄화력발전 계획을 전면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확대로 에너지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3일 국무총리 주재 관계부처 장관회의에서 △국내 미세먼지 배출원의 집중 감축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함께 줄이는 신산업 육성 △주변국과의 환경협력 △미세먼지 예‧경보체계 혁신 등의 내용이 담긴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국내 미세먼지 배출원의 집중 감축'부분에 포함된 석탄화력발전소 관련 미세먼지 저감 대책은 △노후 석탄발전소 10기의 친환경적 처리 △신규 석탄발전소에 영흥화력발전소 수준의 배기기준 적용 △기존 발전소의 대대적 성능개선 등이다.(안산=포커스뉴스) 경기도 안산시 육도에서 바라본 충남 당진의 한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구름같은 수증기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3일 미세먼지 대책발표에서 노후된 화력발전소의 설비를 교체하기로 가닥을모으고 있다. 2016.06.03 김연수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