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혜택 없어진 디젤차…車업계 "실효성 의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6-03 17:17:51
  • -
  • +
  • 인쇄
정부 차원의 기존 디젤차 혜택 크지 않아

생계형 디젤차 운전자들 반발할 것
△ 배출가스 실험을 기다리는 폭스바겐 차량들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미세먼지 대책으로 경유차 혜택 폐지를 발표한 가운데 자동차 업계는 일단 큰 동요 없이 상황을 지켜보는 모습이다. 하지만 일부는 이번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정부는 3일 오전 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미세먼지 특별대책 관련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노후 경유차 수도권 진입 제한', '경유차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폐지' 등을 담은 미세먼지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디젤차를 주로 생산해 온 자동차 업체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논란이 되고 있는 경유차 미세먼지 문제와는 별개로 가솔린 엔진을 개발하고 있었다"면서, "올해 안에 친환경차에 대한 로드맵을 구성하기로 하고, 2020년 양산을 계획하는 등 연료에 따른 차종 다변화를 이미 준비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트럭과 버스 생산에 주력하는 자동차 업체의 한 관계자도 "정부의 규제가 엄격해지면 연구나 제품 개발에 드는 시간이나 비용이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렇지만 정부 법규나 정책 준수를 항상 우선시하고 있고, 배기가스 규정을 맞추거나 연비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공들이고 있다"며 정책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을 밝혔다.

디젤차 혜택 폐지에 따른 판매 감소 가능성에 대해서는 "환경개선부담금 면제나 혼잡통행료 50% 감면 등 기존 디젤차 혜택이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며 "휘발유보다 저렴한 경유가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상용차 운전자를 제외하면, 이번 정책변화가 크게 와 닿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부 업계 관계자는 노후 경유차의 수도권 진입 제한 방안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어떻게 일일이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겠느냐"면서 "특히 배기가스 저감장치 미장착 차량은 주로 화물·운송업에 몰려있다. '생계형 디젤차 운전자'들의 부담만 늘어날 것이고, 그에 따른 반발도 거셀 것"이라고 전했다.

일부는 친환경차 비중을 확대해나간다는 정부 구상에 대해 쓴 소리를 내뱉었다. "친환경차 정책을 추진하려면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전기차 충전방식이 각 사 마다 다르고, 전기충전소도 많이 부족한 것이 국내 친환경차 시장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명확하고 일관된 정책을 기준으로 제시해야 그에 맞는 기술이나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인천=포커스뉴스) '노후 경유차 수도권 진입 제한', '경유차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폐지' 등을 담은 정부의 미세먼지 특별대책에 관해 일부 자동차 업체가 의문을 제기했다. 성동훈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