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대리점연합회 기자회견 열었지만…호응 없고 되레 '추태 논란'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6-02 16:37:14
  • -
  • +
  • 인쇄
현재 대리점 운영하는 점주는 한명도 참가안해

전국대리점연합회 "상생협약 깨고, 보복행위 이어가"

남양유업 "억울…보상 및 시정 조치 모두 완료"

(서울=포커스뉴스) 전국대리점연합회를 비롯한 일부 시민단체들이 2일 오전 서울 중구 남양유업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남양유업이 2013년 '갑질 논란' 이후 대리점들과의 상생협약을 깨고 교묘하게 갑질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창섭 전 피해대리점협의회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2013년 남양유업 사태 당시 국민들 앞에서는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대국민 사과를 했지만, 뒤에서는 일부 대리점들에 보복 행위를 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남양유업이 인맥을 동원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로부터 과징금 취소라는 면죄부를 받았다"며 "반환 받은 과징금을 다시 국민의 공익기금으로 환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남양유업 사태 이후 대리점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 당했으며, 2년이 넘는 기간동안 대리점으로의 복귀가 지연되는 등 피해를 입고 있다고 말하며 울먹이기도 했다.

이날 함께 참가한 김진태 농심 특약점전국협의회 대표는 "지난해 말 통과된 '대리점보호법'(일명 남양유업법)에 허점이 많다"며 "대표적으로 사업자단체 결성권과 단체협상권이 법안에서 빠졌으며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부분도 누락돼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남양유업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2013년 발생한 '갑질 논란' 사태는 사측이 잘못한 것이 맞지만 이후 100억원의 피해보상금을 산정했고, 상생기금 40억원을 별도로 마련해 대리점들에 모두 지급을 완료했다는 것이다.

또한 당시 공정위의 시정 명령에 따라 발주시스템을 개선하고 이에 대한 검증도 받았으며, 배송된 수량이 주문량과 다를 경우 즉시 반송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춰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생협약을 깨거나 대리점들과 현재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이 전혀 아니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창섭 전 피해대리점협의회 회장을 제외하고는 현재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는 다른 대리점주들은 한 명도 참가하지 않았다.

과징금 반환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입장을 보였다. 과징금 반환 결정은 전적으로 공정위에서 내린 것이며, 공정위에서 요구한 조사는 모두 성실하게 임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을 주도한 전국대리점연합회 및 시민단체들은 매주 목요일에 남양유업 본사 앞에서 시위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전국대리점연합회 및 일부 시민단체들이 2일 서울 중구 남양유업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양유업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6.06.02 강영은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