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일 "금융공공기관들이 진통 끝에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만큼 이를 모델로 해 전 금융권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차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에서 "현재의 연공서열, 획일적 평가, 그리고 현실안주와 보신주의의 낡은 관행을 개혁하지 않으면 '우리 금융에 미래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노사가 생존을 위해 피할 수 없다는 절박감을 가지고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한 협의를 조속히 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금융유관기관들은 업무 특성 등을 감안할 때 보다 진지한 자세로 이 문제를 논의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근 9개 금융공공기관이 성과연봉제를 위한 노사합의 또는 이사회의결을 완료한 것과 관련, 임 위원장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전했다.
임 위원장은 "성과중심 문화를 정착함에 있어 성공의 핵심은 직원평가 제도의 공정성과 수용성"이라며 "다른 금융개혁과제와 마찬가지로 성과중심 문화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전 직원의 신뢰가 필요하며 이는 공정, 객관적, 투명한 평가시스템이 전제되어야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과 연봉제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노조가 아직 여전히 동의하지 않고 있고 조직내 갈등도 해소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기관장님들께서는 앞으로 조직 안정과 갈등 해소 등 치유에 최선을 다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성과연봉제가 저성과자 해고 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선 "성과연봉제의 도입 목적은 조직의 생산성과 전문성을 높이려는 것으로써 저성과자 해고(쉬운 해고)와는 직접 관련성이 없다"며 "성과연봉제는 상대평가, 저성과자 해고는 절대평가로 운영돼 성과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아도 업무능력이 일정수준만 넘으면 저성과자 해고와는 무관하다"고 덧붙였다.금융위원회는 2일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임종룡 위원장 주재로 제4차 금융위원장-금융공공기관장 성과중심 문화 확산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