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10억엔이 치유금?"…'분노'로 뒤덮인 수요집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6-02 10:44:51
  • -
  • +
  • 인쇄
1일 제1233차 수요집회…위안부재단 준비위 비판

"정부, 12·28 위안부합의 철회해야" 한 목소리
△ 첫 회의 개의한 위안부 재단 설립 준비위

(서울=포커스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관련 단체들이 "위안부재단을 단호히 거부한다"며 분노했다.

위안부재단 설립준비위원회(준비위) 출범 다음날인 1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맞은편. 이곳에서 진행된 제1233차 수요집회는 한‧일 정부를 규탄하는 목소리로 가득했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와 길원옥 할머니가 지켜보는 가운데 마이크를 잡은 최소영 NCCK 여성위원장은 화를 억누른 목소리로 위안부재단을 향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입을 열었다.

최 위원장은 "준비위원장 스스로 재단의 목적이 화해와 치유이며 일본의 10억엔은 배상금이 아닌 치유금이라고 했다"고 말하며 위안부재단의 진정성을 의심했다. 또 "이같은 발언은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외침을 무시하고 (위안부 문제를) 단순한 여성복지로 강요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지난해 12‧28 위안부회담에 합의한 한국 정부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잘못을 덮어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할머니들이 정부에 요구하는 게 가난하고 배고파서 지원해달라는 것이었느냐"며 "일본이 법적책임을 아시아여성기금을 만들어 회피했는데 이제 그마저도 한국 정부가 대신하려 한다. 왜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의 변호인 역할을 자처하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위안부재단을 규탄하는 쪽지도 이어졌다. 이날 소녀상 뒤 벽면에는 '일본 돈으로 운영되는 재단이 무슨 소용이냐', '할머니들의 명예는 정부가 떨어뜨리고 있다', '위안부합의는 무효!' 등의 포스트잇이 붙여졌다.

3년째 학교 평화봉사활동 시간마다 수요집회를 찾고 있는 김지호(16·덕양중) 학생은 "위안부 합의 이후에 분위기가 더 안좋아졌다고 느꼈는데 오늘은 더 심한 것 같다"고 전했다. 위안부재단과 관련해서는 "할머니들이 원하지 않는 일을 왜 억지로 추진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31일 위안부재단 설립을 위한 준비위가 출범해 첫 회의를 가졌다. 지난해 12월28일 한‧일 정부가 위안부회담에서 합의한 내용의 실행단계에 들어선 것이다.

합의 당시 양국은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 회복, 상처 치유를 위해 한국 정부가 지원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는 재단에 10억엔을 출연하기로 했다.

그러나 준비위원장을 맡은 김태현 성신여대 교수는 18대 대선 당시 새누리당 선대위에 몸을 담은 이력이 있으며 위원들 대부분이 일본군위안부 전문가가 아닌 일본 전문가여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복동 할머니는 "우리는 돈을 받으려 나온 것이 아니다. 명예를 회복하려고 했는데 오히려 (12‧28 합의) 전보다 더 상황이 악화된 것 같다"며 안타까워 했다.1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제1233차 정기 수요집회가 열렸다. 박나영 기자. 1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제1233차 정기 수요집회가 열렸다.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산청 간디중학교 학생들의 공연을 보며 미소 짓고 있다. 박나영 기자. (서울=포커스뉴스) 한일간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 따른 위안부 재단 설립 준비위원회 제1차회의가 열린 31일 오전 서울 세종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회의실에서 위원장인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오른쪽)와 위원들이 회의를 시작하고 있다. 2016.05.31 허란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