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하늘과 바다의 만남 |
(서울=포커스뉴스)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시민단체 환경운동연합이 준설토(하천이나 해안 바닥을 파낸 흙)를 활용해 오염 해역을 복원하겠다는 해양수산부의 계획을 정면 비판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수부가 모호한 연구결과를 내세워 오염된 해역에 갈 곳 없는 준설토를 쏟아부으려 한다"며 "해수부는 바다를 쓰레기장으로 여겨선 안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해수부는 한국해양과학기수원에 연구 용역을 맡긴 뒤 이를 인용해 준설토를 덮음으로써 중금속 농도가 줄고 저생생물의 건강도도 향상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2015년 발표된 다른 연구를 살펴보면 해수부의 주장이 의미 있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지난 3일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오염해역의 복원·관리에까지 정책 범위를 확대하고자 한다"며 "준설토를 활용한 오염해역 복원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해수부는 이 사업을 발표하면서 양질의 준설토로 해저 오염물질을 덮음으로써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차단하고 생태계 복원을 도모할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저생생물의 건강도에 대한 연구는 적어도 5년 이상, 100여개 이상의 정점을 조사해 적합한 지수를 선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해수부의 연구는 그렇지 않았다"며 "연구와 정책 전반에 조급함이 깔려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계획은 국제협약의 오염자 부담 및 '사전예방 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하며 "폐기물 처리를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하려는 꼼수"라고 꼬집으며 "무작정 계획을 추진하기 앞서 유의미한 연구결과가 축적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2016.05.23 강진형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