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나이는 평균 4.8세로 조사된 반면, 부모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영어교육 시작 나이는 평균 5.7세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5월 25일부터 29일까지 자녀를 둔 윤스맘 카페 회원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자녀가 영어교육을 처음 받기 시작한 나이(우리나라 나이기준)는 평균 4.8세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6세'(24.9%)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5세'(21.7%), '4세'(14.8%), '7세'(10.3%), '3세'(9.0%), '2세'(6.0%), '태교'(5.8%), '8세'(5.6%), '1세'(1.1%), '10세'(0.6%), '9세'(0.2%) 순이었다.
영어교육을 처음 시작한 방법(복수응답)으로 '영어 노래·애니메이션 콘텐츠 이용'이 5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린이집·유치원 방과후 수업'이 49.6%로 뒤를 이었고, '영어책 읽어주기'(36.5%), '영어 학습지'(18.2%), '영어유치원·영어전문학원'(4.5%), '그룹과외'(1.3%), '어학연수·조기유학'(0.4%) 순으로 답했다.
자녀의 영어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복수응답)는 '영어 교육을 시키기에 적기라는 판단이 들어서'(44.4%)가 가장 많았다. '어린이집·유치원에서 영어 방과후 수업을 시작해서'(39.9%), '주변 또래 아이들이 시작한 것을 보고'(21.7%), 'TV·인터넷 등에서 유아 영어교육 상품 광고를 보고'(7.9%), '공교육에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해서'(5.4%), '주변 지인의 권유로'(2.4%)가 뒤를 이었다.
자녀 영어교육을 시작한 나이에 대해서는 68.5%가 '적당하다'고 답했으며, '빠르다' 28.1%, '늦었다'는 3.4%로 나타냈다.
반면, 가장 이상적인 영어교육 시작 나이는 평균 5.7세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초등학교 입학시점인 '8세'가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5세'(20.4%), '6세'(12.4%), '10세'(10.3%), '4세'(7.1%), '태교'(6.7%), '9세'(4.9%), '3세'(4.7%), '2세'(4.3%), '7세'(4.1%), '1세'(3.4%) 순이었다
미취학 때부터 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67.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 26.2%, '잘 모르겠다'는 6.6%이었다.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영어에 대한 흥미·친근함을 갖게 하기 위해'(66.1%)가 가장 높았고, '언어는 어릴 때 배우는 게 효과적이므로'(29.8%), '남들만큼은 해야 자신감을 잃지 않을 것 같아서'(2.2%), '공교육 수업 이해도를 높이고 시험 점수를 잘 받기 위해'(1.3%)’라는 대답이 이어졌다.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59.8%가 '일찍 시작했다고 더 잘하는 것 같지 않아서'를 꼽았다. '우리말부터 잘하는 게 더 중요하므로'(28.7%), '일찌감치 영어에 싫증(거부감)을 느낄 수 있어서'(9.1%), '이미 배우고 가면 학교수업에 집중하지 않을 것 같아서'(1.6%)가 뒤를 이었다.
한편,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복수응답)에 대해서는 62.7%가 '커리큘럼'을 선택했다. 다음으로 '기업 브랜드'(43.1%), '교사'(33.0%), '인터넷·SNS에 올라온 학부모평'(30.7%), '가격'(28.5%), '지인 추천'(12.4%) 순이었다.
윤선생 관계자는 "자녀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실제 나이'와 '적기라고 생각하는 나이'의 차이는, 마음 같아선 6세 정도에 영어교육을 시작하고 싶지만 주변 환경이나 여건상 좀 더 이른 5세부터 시작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담고 있다"며 "실제로 영어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나이도 점점 어려지고 있다"고 말했다.예산과 시간 부족의 어려움에 처한 빈곤 국가들의 교사는 학생들에게 많은 과제를 내 자신의 부담을 더는 경향이 있다.*사진과 기사 무관2015.09.02 ⓒ게티이미지/멀티비츠2015.09.02 노이재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