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우해양조선 |
(서울=포커스뉴스) 참여연대가 산업은행과 금융위원회가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 알고도 방치한 것인지 여부 등을 가려달라며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는 26일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누적된 손실을 은폐했다는 분식회계 의혹이 대우조선해양 사태의 핵심"이라며 "최대주주 산업은행과 2대 주주이면서 동시에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금융위원회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참여연대는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존재 여부 △안진회계법인이 대우조선해양의 재무제표에 대해 제대로 감사했는지 여부 △산은, 금융위가 분식회계를 알고도 모른척했는지 여부 △산은과 금융위가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감사를 진행했는지의 여부 등 구체적인 감사 대상을 공개했다.
참여연대는 "감사원이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부실경영과 관련해 산은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고는 있지만 분명한 결론을 내놓고 있지 못하다"며 "하루 빨리 감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이 이익을 부풀리고(과대계상) 지출은 적게 잡는(과소계상) 방법으로 수조원대의 분식회계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부실경영 사태의 원인 가운데 하나는 '낙하산' 사외 이사"라며 "2008년 이후 임명된 사외이사 18명 중 12명이 전문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정치권 출신"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산은 등 국책은행과 정부기관인 금융위원회가 개입했음에도 부실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분석이 시급하다"며 "조선업종의 기업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하기 앞서 책임 소재를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서울=포커스뉴스) 서울 중구 남대문로 대우조선해양빌딩 앞 조형물. 2016.05.11 김인철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