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출발해 서울역까지 가두행진 이어가
![]() |
△ 2016052300162733062_1 |
(서울=포커스뉴스) 맞춤형보육제도의 시행을 막기 위해 전국의 보육교사 1만5000여명이 서울광장에 모였다.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한어총)은 23일 오후 1시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맞춤형보육 제도개선 및 시행 연기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맞춤형보육제도의 시행 연기를 촉구했다.
맞춤형보육은 홑벌이 가정에서 0~2세 영아를 어린이집에 맡길 경우 하루 7시간까지만 보육료를 지원하는 제도다.
한어총은 "정부의 맞춤형보육제도는 지난해 실시한 시범기간 동안 맞춤형 선택 부모가 5%에도 못 미쳤을 정도로 국민의 외면을 받았다"며 "뿐만 아니라 종일반 12시간 운영, 비현실적인 보육료 단가, 두 자녀 이하 가정과 전업주부 영아들에 대한 어린이집 이용 제한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정광진 한어총 회장은 "정확한 보육수요를 예측하지 않은 채 맞춤형보육제도를 강행할 경우 학부모와 보육현장의 불편과 혼란이 가중된다"며 "맞춤형보육제도 실시에 따른 보육수요와 어린이집 운영상황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1년간 맞춤형보육사업의 시행을 미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맞춤형보육제도의 제도적 문제점도 지적했다.
한어총은 "맞춤형의 보육료는 종일형의 80% 수준인데 맞춤형 아동은 오후 3시에 하원하는 것을 제외하면 종일형 아동은 같은 수준의 보육서비스와 특별활동, 급·간식 등이 지출되므로 보육료 감액의 근거가 부족하다"며 "오히려 추가 차량운행 등의 비용이 든다"고 강조했다.
박춘자 한어총 전국가정분과위원장은 "여러 문제점을 방치한 채 정부가 의지만 내세우며 맞춤형보육제도를 강행하면 누리과정에 이은 보육대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제도 개선 등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모든 역량과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오후 4시 집회를 마치고 서울광장을 출발해 서울역까지 맞춤형보육제도의 문제점을 알리는 가두행진을 했다.(서울=포커스뉴스) 23일 오후 서울 중구 시청광장에서 보육관계자들이 '어린이집 0~2세 맞춤형 보육제도 개선 및 시행 연기'를 촉구하며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2016.05.23 이승배 기자 (서울=포커스뉴스) 23일 오후 서울 중구 시청광장에서 보육관계자들이 '어린이집 0~2세 맞춤형보육 제도개선 및 시행 연기'를 촉구하며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2016.05.23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